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이 오는 27일 새롭게 단장한 '과학문화' 상설 전시실의 첫 선을 보인다.
또한 전시실에서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석각 천문도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국보)을 비롯해 조선시대 과학문화유산 총 45건(국보 3건, 보물 6건 포함)을 전시한다.
새롭게 단장한 '과학문화'실은 ‘관상과 수시’라는 주제 아래 어려운 과학문화유산의 의미와 작동원리 등을 쉽게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춰 1부 ‘조선 국왕의 통치 이념과 천문’, 2부 ‘조선왕실의 천문 사업’, 3부 ‘조선의 천문의기’ 총 3부로 구성했다.
‘조선 국왕의 통치 이념과 천문’에서는 국왕의 임무 가운데 으뜸인 ‘관상수시’가 국가 통치 이념이자 수단이었음을 보여준다. 주요 유물로는 강우량 측정 기구인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국보), 고대부터 왕권의 상징물이던 천체관측기구 '혼천의', 통치자를 상징하는 북두칠성과 28수 별자리를 새긴 '인검 등이 있다.
‘조선왕실의 천문사업’에서는 조선 왕실에서 추진한 천문 관련 사업과 그 결과물로 편찬된 여러 역서를 소개한다. 주요 유물로는 천문사업을 담당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인 관상감 관련 유물과, 천문학서인 '천문류초(天文類抄)', 역서인 '칠정산 내편', '칠정산외편', '내용삼서(內用三書)', '대통력', '시헌서' 등이 있다. 역
‘조선의 천문의기’ 에서는 관상수시에 사용했던 천문기기를 종합적으로 관람할 수 있다. 주요 유물로는 천체관측기구인 '일성정시의', '소일영', '혼천의', 각종 시계인 '앙부일구', '지평일구',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복각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보물) 등이 있다.
특히 현재까지 완형이 남아 있지 않은 '자격루'의 부속품인 항아리, 부표, 주전 등의 유물을 만나볼 수 있고, 참여형 영상을 통해 경복궁과 창덕궁·창경궁에 설치된 여러 기구의 위치와 내용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관람객이 숫자를 눌러보며 각석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전시실 입구에 ‘숫자로 만나는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참여형 정보영상을 마련했으며, 전시실 내부에서는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웠던 각석의 내용과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실감영상과 각석 투사영상을 상영한다. 충분한 관람을 위해 15분 단위(매 시 정각, 15분, 30분, 45분 시작)로 운영된다.
이번 개편에서는 어려운 유물의 이해를 도울 다양한 정보영상과 혼천의, 측우대, 앙부일구, 자격루의 수수호 등 4개의 유물 촉지 모형을 만져볼 수 있는 ‘손끝으로 만나는 조선의 과학문화’, ‘큰 글씨 안내물’ 등을 전시장 곳곳에 배치해 관람객의 편의를 높였다. 또한 측우대에서는 빗소리를, 자격루에서는 시각을 알리는 북·종소리를 들으며 전시 유물을 오감으로 만끽할 수도 있다.
- 문화재청, 문화유산 관리 우수 지자체 해남·아산 등 14곳 표창
- 문화재청, 재난재해 대비 문화재 관리 방향 모색한다
- 신라 왕궁으로 이어진 '남북대로' 발견…경주 발천 현장 공개
- 고려도기 3800점 온라인에서 만난다…자료집 발간
- 문화유산 분야 청년 인턴 200명 뽑는다…문화재청, 운영기관 공모
- '순천 선암사' 등 일주문 4곳 보물 지정
- 경기도자박물관, ‘2022 박물관 길 위의 인문학’ 우수기관 선정
- "고궁박물관 토끼 유물 보고, 행복한 한 해 시작하세요"
- 중국 회화·공예로 만나는 꽃·나무…화정박물관 특별전
- 제암리3·1운동순국기념관, 공립박물관 평가인증 우수기관 선정
- 조선 외교문서 담당했던 사자관청 기록물 첫 번역 공개
- 국립고궁박물관, '모란불수문 향주머니' 2월 추천 유물 선정
- 창경궁 관람권 디자인, 20년 만에 바꾼다
- 봄을 품은 낙선재…창덕궁·덕수궁, 특별 관람 프로 운영
- 불 밝힌 왕의 집무실…창덕궁 희정당 야간관람 행사
- “국보 동궐도 속 창덕궁 나무 보러 오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