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이 2023년 토끼해를 맞아 2일부터 ‘토끼와 까마귀가 새겨진 은 주전자(銀鍍金日月甁)’를 1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정해 공개하고,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 영상으로도 선보인다.
'은 주전자'는 궁중 연향이나 제례 때 술이나 물을 담아 따르는 용도였다. 유물을 자세히 살펴보면 몸체 전체를 은으로 만들었고, 문양과 뚜껑 일부만 금으로 도금했다. 바닥에는 십실(十室)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고, 몸체 앞, 뒤, 중앙에는 각각 세발까마귀와 방아 찧는 토끼가 새겨져 있다. 연꽃봉오리 모양의 뚜껑에는 복이 들어옴을 뜻하는 박쥐를 새겼다.
토끼는 예로부터 다산과 지혜의 상징처럼 여겨지기도 하지만 서왕모와 얽힌 고대 설화에서 먹으면 죽지 않고 오래 살 수 있다는 약인 불사약을 만들기 위해 달 속에서 방아를 찧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달을 상징하는 동물이기도 하다. 이 유물은 고종대 기록물인 진찬의궤, 진연의궤 등에도 동일한 모습이 묘사되어 있어 왕실 연향에 사용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은 주전자' 이외에도 토끼와 관련된 재미있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지하 1층 ‘왕실의례’ 전시실에서는 달과 토끼가 그려져 있는 월기를 함께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박물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국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과 문화재청·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에서 국·영문 자막과 함께 해설영상으로 공개한다.
관련기사
- 국립고궁박물관, 새 단장한 '과학문화실' 첫 선
- 고려 범종이 일본·류큐 문화사에 미친 영향은
- 조선왕실 사각유리등, 종로의 밤 밝힌다…12일 점등 행사
- 조선 최고의 건축도형…‘북궐도형’, 이달의 유물 선정
- 용천동굴 등 천연기념물·명승 6곳, 실감형 콘텐츠로 만난다
- 중국 회화·공예로 만나는 꽃·나무…화정박물관 특별전
- "백제의 우수한 토목기술 확인"…부여 북나성 발굴현장 공개
- 제암리3·1운동순국기념관, 공립박물관 평가인증 우수기관 선정
- 조선 외교문서 담당했던 사자관청 기록물 첫 번역 공개
- 국립중앙박물관, '이건희 기증품' 기본정보 온라인 공개
- 국립익산박물관, ‘전북의 고대 성곽’ 특별전 개최
- 토끼 가방·한지 제기 만들어볼까…국립김해박물관, 설맞이 전통문화행사
- 국립고궁박물관, '모란불수문 향주머니' 2월 추천 유물 선정
- 왕실 유물, 집에서 만난다…고궁박물관, 온라인 전시 개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