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음악 창작자 약 3500명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에 방송사의 무단 음악 사용에 대한 조사와 제재를 요청하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지난 4일 탄원서를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가 방송사들이 십수 년 동안 음악 저작권 이용허락 없이 방송 행위를 하고 있음에도 이를 제대로 조사하거나 방송법에 따라 조치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사단법인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이하 한음저협)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KBS, MBC, SBS, KT, SKB, LG U+, CJ ENM 등 방송·통신사를 비롯해 약 180여개의 방송 사업자가 적법한 이용허락 없이 음악을 무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침해 상황을 인지한 작사·작곡가들은 탄원서를 통해 국내 정보통신 및 방송 정책을 관장하는 두 기관에 승인·허가·등록 취소 등 해당 방송사들을 방송법에 따라 조치해 줄 것을 요구했다.
한음저협 역시 이러한 방송·통신사의 저작권 침해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방송·통신사에 대한 제재를 요청하는 탄원서를 지난달 20일 과기부와 방통위에 제출했다.
국제저작권관리단체연맹(CISAC)에서 발표한 보고서 'Global Collection Report 2020'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GDP 대비 음악 저작권료 징수액은 50개국 중 45위를 기록했으며, 대한민국 보다 징수액이 낮은 나라는 콜롬비아, 알제리, 바베이도스, 페루, 지부티 밖에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한음저협 관계자는 "세계 평균을 한참 밑도는 수준의 저작권료도 못 내겠다고 하는 방송·통신사들이 해외 사업 진출 시에는 훨씬 높은 수준의 저작권료도 거리낌 없이 낸다"며 "결국 각 국가의 정부와 사법기관이 저작권 침해를 얼마나 엄격히 바라보며 제재하고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 한음저협, 웨이브 저작권침해 재수사에 "합리적인 결정"
- 한음저협 "'요율 인상 주장·중재안 반대', 사실 아니다"
- 한국-태국, 온라인 저작권 침해 대응 공조 방안 모색
- 한음저협 "음악 저작권료 징수 세계 9위…전년 대비 16% 증가"
- 보험상담 이용해 시청자 정보 유용…방송사들 과징금
- 방통위, 방송 분야 태풍·지진 대응 훈련 실시
- 문체부, ‘권리자를 위한 저작권 침해 대응 종합안내서’ 발간
- 결방으로 인한 스태프 수입 감소…문체부, 방송사에 대책 촉구
- 방통위, TV조선 4년 재승인 의결…창사 후 최고점
- 장기입원자 유료방송 대리 해지 쉬워진다
- 한음저협, 원로 음악인 초청 ‘스승의 날’ 기념행사
- SBS, 美 인디애나 경제개발공사와 TV 광고 독점 계약
- ‘수신료 분리징수’ 입법예고 40일→10일 단축…KBS, 헌법소원
- ‘강변가요제’, 올해의 주인공은 누구?…참가자 모집
- KBS, 수신료 분리징수 의결에 “졸속 처리…국민 불편 증가 우려”
- 방통위 “분리징수 공포되면 TV 수신료 안내도 불이익 없어”
- ‘연 71만원’ EBS 중학 프리미엄, 17일부터 무료 전환
- 지난해 방송사 시청점유율은?…KBS 압도적 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