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정부 대전청사 산림청 대회의실에서 조영록 SGI서울보증 마케팅·상품본부장(오른쪽)과 도재영 산림청 산지정책과장(왼쪽)이 '산지전용통합정보시스템 보증상품 운영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GI서울보증
30일 정부 대전청사 산림청 대회의실에서 조영록 SGI서울보증 마케팅·상품본부장(오른쪽)과 도재영 산림청 산지정책과장(왼쪽)이 '산지전용통합정보시스템 보증상품 운영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GI서울보증

SGI서울보증이 산림청과 인허가 보증업무의 비대면 디지털화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제 지자체 방문 없이 산지전용, 토석채취 등의 신청부터 허가증 발급, 사후관리까지 인허가 업무 전체의 처리가 가능해진다.

SGI서울보증은 산림청은 30일 정부 대전청사 산림청 대회의실에서 ‘산지전용통합정보시스템 보증상품 운영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산지전용통합정보시스템이란 산지관리법에 따라 산림청이 운영하는 온라인 민원 플랫폼인 ‘산지전용 민원포탈’이다.

기존에는 보증 신청인이 복구비 예치 공문 등을 지참하고 SIG서울보증 지점에 방문해 보증보험을 발급받아 허가권자에게 직접 제출해야 해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하지만 이번 산지전용 민원포털 구축으로 복구비 예치 통지내역과 보증보험 발급결과가 시스템을 통해 자동 통지돼 신청인이 별도의 서류 제출 없이 SGI서울보증에 민원신청 번호만 안내하면 간편하게 보증보험 발급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SGI서울보증은 인허가보증보험 발급 등 보증서비스의 제공 편의성을 높이고자 산림청과 손잡고 시스템을 개발했다.

조영록 SGI서울보증 마케팅·상품본부장은 “이번 사업은 민관이 협력해 연간 3만 건이 넘는 민원인의 업무 편의를 제고하고 인허가 업무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대표적 사례가 될 것”이라며 “SGI서울보증은 디저털 혁신을 통해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현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