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사진=뉴스저널리즘
금융감독원. 사진=뉴스저널리즘

국내은행들이 대내외 경제의 불확실성에 대응해 대손준비금을 추가 적립한다. 대손충당금과 대손준비금을 합한 손실흡수능력은 1.8조원 확대될 예정이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코로나19 재확산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 대내외 경제의 불확실성에 대응해 사전적 감독의 일환으로 은행에 대손준비금 추가적립을 권고했다고 8일 밝혔다.

국내은행들은 이사회와 주총을 통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총 8760억원의 대손준비금을 추가로 적립할 예정이다. 신용위험이 높다고 판단되는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대출, 코로나19 취약업종 대출에 대해 대손준비금을 추가로 적립하게 된다.

국내은행의 대손충당금과 대손준비금의 순전입액은 2020년 1.3조원에서 2021년 1.8조원으로 34.6%(0.5조원) 확대될 예정이다.

자료=금융감독원
자료=금융감독원

그동안 금융감독원은 팬데믹 상황과 대내외 경제여건을 고려해 대손충당금 추가적립과 자기자본 확대 등 은행의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적으로 유도해왔다.

금감원은 지난 1월 18일 은행 재무담당 부행장과 간담회에서 충분한 충당금 적립을 요청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은행들은 2021년 결산시 3000억원 내외의 충당금을 추가 적립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코로나19 재확산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대내외 경제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면서 현재의 손실흡수능력 수준이 충분하다고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은행을 대상으로 2021년도 결산검사를 실시한 결과, 은행별로 충당금 산출방법의 차이가 크고 대내외 경제상황 감안시 손실 흡수능력이 충분치 않다는 우려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또 최근 재연장키로 한 대출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등 코로나19 피해기업에 대한 각종 금융지원 조치가 추후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부실이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해 선제적인 대비를 해나갈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금감원은 지난 4일 은행 재무담당 부행장(CFO)과의 간담회에서도 대손준비금 추가적립을 권고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의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예정"이라며 "예상치 못한 손실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기자본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계부문 경기대응완충자본(SCCyB) 도입 등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