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씨티은행은 3분기 2564억원의 총수익과 20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고 12일 밝혔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7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분기 총수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999억원과 710억원이었다.
씨티은행은 9월말 현재 BIS 자기자본비율과 보통주자본비율이 18.35%와 17.61%를 각각 기록하며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올해 3분기 총수익은 전년 동기대비 14.5% 감소한 2564억원을 기록했다. 조달비용 증가와 저수익 유동자산 증가로 순이자마진이 하락함에 따라 이자수익이 감소한 것이 총수익 감소의 주요인이다. 비이자수익의 경우 채권 관련 이익과 부실대출채권 매각 이익의 감소로 전년 동기대비 하락했다.
3분기 비용은 2119억원으로 전년 동기의 일회성 비용 환입의 기저효과로 전년 동기대비 18.6% 증가했다.
3분기 대손비용은 신용 관리가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전년 동기대비 24.1% 감소한 174억원을 기록했다. 9월말 고객대출자산은 전년 동기대비 8.3% 증가한 25.8조원이었으며, 예수금은 전년 동기대비 10.6% 증가한 30.3조원을 기록했다. 9월말 현재 예대율은 83.3%를 기록했다.
3분기 총자산이익률과 총자본이익률은 각각 01.6%, 1.28%를 기록했다.
유명순 은행장은 "한국씨티은행의 소비자금융 사업부문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기로 결정했다"며 "그 과정에서 관련 법규와 절차를 준수하고 감독 당국과 충분한 협의를 통해 고객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3분기 실적은 한국씨티은행이 직면한 도전적인 영업환경이 반영된 결과지만 국제무역 증가와 글로벌 경기 회복세에 따라 기업금융 비즈니스 부문에서 고무적인 신호를 감지하고 있다"며 "한국씨티은행은 한국에서 선도적 위치에 있는 기업금융 사업부문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투자를 계속할 것이며, 기업고객들에게 씨티그룹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최선의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 CJ제일제당, HDC현대EP와 화이트바이오 합작법인 설립...시너지 극대화
- 대한항공, 5년 만에 4000억원 대 분기 영업이익 회복...'화물'이 살렸다
- KT, 2022년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 단행...'안정·고객·성장' 3대 키워드
- 차기 신협중앙회장 12월 직선제 투표…김윤식 회장 연임 관심↑
- 송종욱 광주은행장 향토은행 자존심 지켰다…광주시 남구청 금고 재탈환
- 코스피 반등 시동…전일 대비 1.50% 상승한 2968.80p 마감
- 씨티銀 노조 "대출 상환 분할 소비자 피해 커진다"
- 씨티은행 고객 잡아라…대출 대환 두고 은행권 경쟁 본격화
- [애드버토리얼]한국씨티은행, 17년째 ‘NGO 인턴십 프로그램’ 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