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부터 롯데제과의 인사 제도가 바뀐다. 직원평가 기준이 달라지고, 직원 연봉 고과 체계가 기존 5단계에서 3단계로 축소되는 것이 골자다. 연봉 고과 체계가 축소되면서 일각에서는 성과급을 받지 못하는 직원이 늘어날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롯데제과는 최근 직원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21년도 평가제도 변경에 따른 동의서를 받고 있다.
7월과 11월 진행되는 직원평가 기준에서 팀장 등을 제외한 비직책자의 팀원 육성점수를 폐지하고, 교육점수 산정방식을 변경하는 내용 등을 담았다.
승진기준도 변경된다. 외국어 점수를 승진 심사에 반영하고, 교육점수 심사 가점과 리더십 평가를 승진에 반영한다는 것.
일반직의 연봉 고과 단계는 기존 5단계(S·A·B·C·D)에서 3단계(E·G·B)로 축소하고 상여 차등도 강화하기로 했다.
가장 높은 등급인 E등급은 연 기준 상여에 300%를 더해 지급하지만, 최하위 등급인 B등급엔 상여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했다. 상여금 변경은 내년 4월 연봉 계약부터 반영될 예정이다.
최하위 등급인 B등급에는 2021년도 성과급도 지급하지 않고, 내년도 학자금도 지급하지 않는다. 아울러 내년도 임금인상 대상에서 제외할 예정이다.
이번 인사 제도 변경을 두고 내부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크다. 직원평가 등급이 축소, 단순화될 경우 상여금을 받지 못하는 사례가 대폭 확대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직원 평가 변경으로 개별 경쟁이 치열해지는 분위기 속에서 상여금을 받지 못하는 직원들의 ‘의욕 상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내부에서는 비율적으로 E등급을 극소수로 하고, G와 B등급을 늘려 인건비를 줄이려는 꼼수가 아니냐는 일부 지적도 나온다.
롯데제과 한 직원은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를 통해 “상여를 못 받는 인원이 대폭 늘어날 것"이라며 "평가기준이 모호하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롯데제과는 임직원 평가 공정성과 신뢰성 강화를 위해 평가 제도를 변경했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지난달 2차례 평가설명회를 열고 직원들에게 사전 안내를 하기도 했다.
롯데제과 관계자는 “평가제도 변경의 경우 일과 그 노력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직원들이 더욱 동기부여가 될 수 있도록 평가 상위그룹 비중을 기존보다 확대하고 보상 기준도 상향조정했다”며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직원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보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단독] '꼬깔콘 새우마요맛'의 부활...롯데제과 7월 말 신제품 4종 출시
- [단독] 세븐일레븐, 롯데껌 3가지 맛을 마카롱에 담았다
- [단독] 롯데제과, '100억 매출' 에어 베이크드 라인업 강화…로제 스파이시맛 선봬
- SK에코플랜트, 친환경 실천 캠페인 첫 우승자는 '소방관'
- 케이뱅크, BC카드와 PLCC 출시… 신용카드에 계좌 현금인출 가능
- [재계산책] 닻 올린 LX그룹, 브랜드 알리기 한창에 중장기 비전 수립까지 "바쁘다 바빠"
- '홀~쭉해진' 롯데제과, 중량줄이고 가격 높이고… 평균 12.2% 인상
- 오리온 제품 값 동결에 소비자 응원 릴레이... 경쟁업체는 줄줄이 인상
- LG전자 성과급 개편에 직원들 반응은?
- '빼빼로데이' 특수 노리는 롯데제과, 신제품 잇달아 선봬
- [키워드로 본 2021] 유통업계, 가격인상·남혐논란·이색제품 출시까지
- 작년 성과급으로 홍역 치룬 SK하이닉스 올해는 다르다… 타기업 직장인들 "부럽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