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투자계좌(IMA) 제도가 도입 8년 만에 첫 사업자를 배출할 전망이다.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날 열리는 정례회의에서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의 IMA 사업자 지정 안건을 최종 심의할 예정이다. 증권선물위원회가 이미 두 회사의 자기자본 8조원 이상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지정 건을 통과시킨 만큼 이견 없는 승인이 점쳐진다.
금융당국은 지난 2017년 '한국판 골드만삭스' 육성을 목표로 IMA 제도를 마련했지만 아직까지 실제 지정 사례는 없었다. 올해 들어 당국이 관련 절차에 속도를 내면서 지난 7월 신청서를 먼저 낸 두 회사가 동시에 1호 사업자로 지정될 가능성이 커졌다. NH투자증권은 신청 시점이 늦어 심사가 계속되고 있다.
IMA는 자기자본 8조원 이상 종투사만 취급할 수 있는 계좌다. 증권사가 원금 지급 의무를 지고 고객 예탁금을 기업금융 자산 70% 이상 등에 투자해 수익을 내는 구조다. 예금보험공사 보장은 없지만 증권사가 파산하지 않는 한 원금이 지급돼 안정성과 수익성을 함께 추구하는 투자자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는 이번 지정이 자금 이동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본다. 원금 손실 위험이 낮으면서 초과수익을 노릴 수 있는 상품이 나오면 은행 예금 자금 일부가 증권사로 흘러들 수 있다는 관측이다. IMA 사업자는 고객 예탁금을 대규모로 끌어모아 회사채, 기업대출 등으로 운용 범위를 넓히며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IMA는 발행어음보다 운용 한도가 넓다. 발행어음 한도는 자기자본의 200%지만, IMA 사업자는 여기에 100%를 추가 운용할 수 있다.
현재 IMA 추진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한국투자증권이다. 3분기 말 별도 기준 자기자본은 12조219억원, 발행어음 잔고는 18조7000억원으로 발행어음 한도(200%)를 거의 다 썼다. 미래에셋증권은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다. 3분기 말 별도 기준 자기자본 10조3106억원, 발행어음 잔고 8조2634억원으로 발행률이 약 80%다.
두 회사는 금융위 지정이 나오면 연내 상품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맞춰 금융당국의 소비자 보호 강화 기조에 맞게 내부 조직을 재정비 중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달 조직개편으로 IMA 본부를 신설하고 금융소비자보호본부를 부문으로 승격했다. 한국투자증권은 최근 김성환 사장 직속으로 소비자보호 TF를 신설하고 MTS에 안전투자 알림 기능을 도입했다.
두 회사의 심사가 마무리되면 IMA 제도는 도입 8년 만에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업계는 IMA가 종투사 체제 강화와 증권사 자금 운용 구조 변화의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