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는 한국문화정보원이 주관하는 '2025 문화체육관광 AI·디지털혁신 포럼'에 참여했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는 이 행사에서 자체 개발 인공지능(AI) 모델 '카나나'의 전략과 오픈소스 방향성에 대해 발표한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정보원이 국민체육진흥공단·한국관광공사·한국문화예술위원회·한국저작권위원회·한국콘텐츠진흥원과 공동 주관하는 이번 포럼은 '디지털이 바꾸는 문화 일상, AI가 이끄는 혁신'을 주제로 열린다. 문화·예술·콘텐츠·체육·관광·저작권 등 다양한 분야의 인공지능(AI) 및 디지털 전환 사례가 공유된다.
카카오는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주관하는 세션에 참여해 '카나나 개발 전략과 오픈소스 모델'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발표자로 나서는 김병학 카나나 성과리더는 국내 정서와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갖춘 AI 모델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고성능 AI 모델 '카나나'의 개발 배경과 구조를 소개할 계획이다.
카나나는 고효율 추론 구조를 갖춘 자체 AI 모델로, 현재는 'MLA' 기법과 'MoE' 구조를 적용한 차세대 모델 '카나나-2' 개발이 진행 중이다. 카카오는 이 모델을 통해 경량화된 고성능 모델과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처리하는 멀티모달 언어모델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카카오는 AI 기술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2월부터 언어모델·멀티모달 언어모델·가드레일 모델 등을 오픈소스로 공개해 왔다. 현재까지 누적 다운로드는 40만건을 넘었으며, 이 중 '카나나-1.5-8b' 모델은 실사용 환경 특화 에이전트 능력 평가에서 1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모델과 경쟁력을 입증했다. 카카오는 상업적 활용이 가능한 라이선스를 적용해 누구나 자유롭게 국산 AI 모델을 실험하고 서비스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병학 성과리더는 "카카오는 AI 연구 성과를 서비스에 적용하는 것을 넘어 사회적 가치와 책임을 다하는 모델 개발과 확산을 위해 기술의 투명성과 접근성 확보에 힘쓰고 있다"며 "AI 기술의 혜택을 특정 기업이 아닌 사회 전체와 공유하고, 모두가 참여하는 혁신을 통해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에 지속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