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 아지트 모습. 사진=연합뉴스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 아지트 모습. 사진=연합뉴스

카카오는 연결 기준 3분기 매출 2조866억원, 영업이익 2080억원의 잠정실적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대비 9%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59% 늘었다. 이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지난 2분기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모두 경신한 수치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한 1조598억원이다. 이 가운데 톡비즈 매출은 5344억원으로 7% 늘었으며, 광고 매출은 11% 증가한 3254억원을 기록했다. 비즈니스 메시지 매출이 전년 대비 22%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다시 썼다.

선물하기·톡딜 등 커머스 매출은 2087억원으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추석 연휴가 10월로 이동하며 계절 효과가 4분기로 이연된 상황에서도 선물하기 거래액은 1% 성장했다. 특히 자기구매 거래액은 40% 증가했으며, 커머스 통합 거래액은 4% 늘어난 2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모빌리티·페이 등을 포함한 플랫폼 기타 매출은 452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다. 카카오페이의 금융 자회사 매출 성장은 물론, 데이터 기반 플랫폼 서비스의 실적이 견조하게 이어지며 분기 영업이익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콘텐츠 부문 매출은 1조267억원으로 5% 증가했다. 뮤직 부문은 20% 늘어난 5652억원, 미디어 부문은 75% 증가한 95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주요 아티스트들의 성과와 이연 작품의 매출 인식, 제작 진행률 상승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카카오는 대화 기반으로 이용자의 목적 달성을 지원하는 에이전틱 AI 생태계 구현에 나서고 있다. '카나나 인 카카오톡', '카카오 툴즈' 등을 적용한 'ChatGPT for Kakao' 서비스를 통해 대화형 AI 실험을 본격화했으며, 향후 금융·모빌리티 등 그룹 B2C 서비스로 확대할 계획이다. 'Play MCP'와 'AI 에이전트 빌더'도 함께 제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AI 생태계 기반도 구축한다.

카카오톡은 4분기 중 친구탭 개편을 완료하고, 맞춤형 폴더 기능·AI 요약 기능 확대 등 편의기능을 순차적으로 적용해 사용자 경험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올해는 카카오의 그룹 거버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면서 기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단단하게 다지는 작업을 완료했다"며 "내년부터는 AI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담보하는 가장 중요한 신규 매출원으로 진화하는 모습을 보여드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키워드
#카카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