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CI. 사진=카카오
카카오 CI. 사진=카카오

카카오는 UN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주최 '제14차 UN 기업과 인권 포럼'에 참석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24일부터 3일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행사에서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및 운영 전 과정에서의 인권 보호 체계와 오픈소스를 통한 공공 기여 방안을 발표했다.

UN 기업과 인권 포럼은 2011년 채택된 'UN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UNGPs)' 실현을 위해 매년 열리는 국제 회의다. 각국 정부·기업·시민사회·학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모여 기업 활동 속 인권 증진 방안을 논의한다.

카카오는 이번 포럼의 '인공지능 시대의 인권 증진' 세션에 참여했다. 하진화 AI 세이프티 시니어 매니저는 발표를 통해 "카카오는 AI 기술 개발 및 운영 전 과정에 인권 보호 체계를 접목하고 있으며, 한국어와 문화 맥락에 최적화된 AI 가드레일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등 공공 조달의 신뢰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그룹 차원에서 '안전한 AI를 위한 핵심 체크리스트', '책임 있는 AI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도입하고, 인권 관련 항목을 명시적 기준으로 설정해 AI 거버넌스를 운영 중이다. 특히 국가인권위원회의 'AI 인권영향평가 도구', 유니세프의 '디지털 아동 영향평가(DCIA)' 등을 주요 참고자료로 삼아 기준을 수립했다.

이 같은 기준은 OHCHR, AI 얼라이언스 등 글로벌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적 정합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외 인권 기반 AI 정책 논의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카카오는 안전한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술도 오픈소스로 공유하고 있다. 지난 5월 국내 최초로 공개한 '카나나 세이프가드'는 AI 서비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가드레일 모델로 현재 카카오 주요 서비스에 적용돼 있다.

김경훈 AI 세이프티 리더는 "AI 기술 개발과 서비스 운영에서 이용자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삼고 있다"며 "기술의 투명성과 공공 기여를 통해 인권 중심의 지속 가능한 AI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키워드
#카카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