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은행과 하나금융연구소가 민간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는 지난 14일 한국금융연구원 8층 대회의실에서 한국금융연구센터와 함께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위한 주요 과제를 주제로 제15회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에는 40여명의 전문가와 금융기관 관계자가 참석해 벤처시장 육성과 혁신 생태계 복원을 위한 정책 및 민간 부문의 과제를 모색했다. 참석자들은 최근 우리 경제의 자금이 부동산 등 가계대출 부문에 과도하게 집중되면서 중소와 벤처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이 위축되는 문제에 공감하고 민간 벤처투자 부문의 대응 방안을 토론했다.
한재준 인하대학교 교수와 김현열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제1세션에서 국내 벤처투자시장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정책금융과 민간자본의 역할 재정립 방안을 제시했다. 국내 벤처캐피탈 시장이 OECD 32개국 중 투자 규모 5위에 달하지만 정책금융 의존도가 높고 연기금과 공제회의 출자 비중은 3퍼센트 수준에 그쳐 미국 42퍼센트와 유럽 12퍼센트에서 18퍼센트와 격차가 크다고 지적했다.
윤선중 동국대학교 교수와 한재준 교수는 제2세션에서 국내 모험자본이 RCPS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갖고 IPO 중심의 회수구조가 고착화된 점을 지적하며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한국의 스타트업이 IPO까지 평균 14년이 걸리는 반면 미국은 M&A 중심으로 평균 5년 내 회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들어 M&A를 중심으로 한 조기 회수 생태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승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는 제3세션에서 한국형 BDC 제도의 입법 경과와 향후 과제를 발표했다. 윤 교수는 BDC 운용 규율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시장 여건에 따라 레버리지 한도와 자기자본 유지율, 집중투자 한도 등을 정기적으로 조정하는 동적 규제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하나은행 3년 연속 금융소비자보호 우수기업 선정…특허 기술력 인정
- 하나은행, 시니어 전용 웨어러블 로봇 서비스 론칭…금융·헬스테크 융합
- 하나금융, 첨단산업 벤처 모펀드 4조원 조성
- 하나펀드서비스 "자산운용사, 책무구조도 도입 선제 준비해야"
- 하나은행, 25일부터 주담대 대면 접수 중단
- 하나은행, 이탈리아헬스케어 펀드 운용사 3곳 상대 소송
- 하나은행-네이버페이-SK브로드밴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맞손'
- 하나금융그룹, 금융권 최초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 발간
- 하나은행, 외국인 생활 필수 앱 'Hana EZ' 통합 금융 플랫폼으로 전면 개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