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선대회장의 5주기 추도식이 24일 오전 경기도 수원 가족 선영에서 엄수된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추도식에는 홍라희 삼성미술관 리움 명예관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 김재열 삼성글로벌리서치 사장 등 유족이 참석한다.
또한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 홍원학 삼성생명 사장 등 전·현직 경영진 150여명도 함께할 예정이다.
추도식 이후 이재용 회장과 관계사 사장단은 경기 용인 삼성인력개발원에서 오찬을 함께하며 고인을 기릴 계획이다.
이번 5주기를 맞아 고 이건희 회장이 생전에 남긴 'KH 유산'의 가치가 다시금 조명되고 있다. 유족들은 고인의 유지를 받들어 지난 2021년 미술품 기증과 의료공헌 등 사회 환원을 실천했다.
이 회장의 소장품 2만3000여점은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 등에 기증돼 국내 미술사에 전례 없는 전환점을 남겼다. 국립중앙박물관에는 국보 14건, 보물 46건 등 지정문화재를 포함한 고미술품 2만1600점이, 국립현대미술관에는 김환기·박수근·이중섭 등 근대 대표작가의 작품 1600여점이 기증됐다.
이 밖에도 전국 지방 미술관에 143점의 작품이 전달돼 지역 미술 인프라 수준 향상에 기여했다. 대표작으로는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 단원 김홍도의 '추성부도', 고려 '천수관음 보살도', 박수근의 '절구질하는 여인', 이중섭의 '황소' 등이 꼽힌다.
2021년 이후 진행된 '이건희 컬렉션' 순회전은 전국 주요 박물관·미술관에서 35회 개최돼 관람객 350만명을 모았다. 아트뉴스페이퍼 집계에 따르면 2022년 국립중앙박물관은 이 전시의 흥행으로 세계 관람객 방문 순위 5위에 올랐다.
컬렉션은 다음 달부터 내년 2월까지 미국 스미스소니언 국립아시아예술박물관에서 전시된 뒤 시카고미술관(2025년 3~7월), 영국 대영박물관(2025년 9월~2027년 1월)으로 이어지는 해외 순회가 예정돼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박수근, 이중섭 등 국내 거장들의 작품이 세계적으로 재조명될 전망이다.
고인은 생전 "사람들의 일상 속에서 문화적 소양이 자라나야 한다"고 강조하며, 문화유산 보존과 국민의 문화 향유 확대에 남다른 철학을 보였다. 2004년 리움미술관 개관식에서도 "문화유산을 모으고 보존하는 일은 인류 문화의 미래를 위한 시대적 의무"라며 예술을 통한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예술인 후원에도 앞장섰다. 백남준, 이우환, 백건우 등 예술인들의 해외 활동을 지원했으며, '삼성호암상' 예술상을 제정해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을 꾸준히 시상했다.
한편 유족은 고인의 뜻을 이어 1조원 규모의 의료공헌도 실천했다. 감염병 극복에 7000억원, 소아암·희귀질환 치료 지원에 3000억원을 기부했다. '어린이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성장은 우리의 사명'이라는 고인의 신념에 따른 결정이었다.
이후 사회 전반에 기부 선순환의 바람도 일었다. BTS 정국은 2023년 서울대 어린이병원에 10억원을, 가수 이승기는 2022년 20억원을 각각 기부했다. 삼성의 스마트공장 지원을 받은 코젠바이오텍도 2022년부터 소아암 환자를 위해 누적 2억5000만원을 기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