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열린 투명한 성과급 제도로의 개선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에서 삼성그룹노조연대 등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0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열린 투명한 성과급 제도로의 개선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에서 삼성그룹노조연대 등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삼성그룹 계열사 노동조합들이 기존 성과급 제도의 불투명성과 차별을 문제 삼으며 전면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성과급 지급 기준을 영업이익으로 명확히 하고 상한선을 폐지해 공정하고 투명한 보상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0일 삼성그룹노조연대는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행 성과급은 불투명·불공정·불합리한 3대 구조에 갇혀 있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삼성그룹노조연대는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을 비롯해 삼성생명·삼성화재·삼성디스플레이·삼성SDI울산 등 13개 계열사 노조로 구성돼 있다.

노조는 현 제도가 EVA(경제적 부가가치)를 기반으로 산정돼 직원들이 실제로 받을 금액을 사전에 예측할 수 없고, 자본비용 산정 과정 역시 공개되지 않아 불신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오상훈 삼성그룹노조연대 의장은 "삼성은 정기상여금 대신 1년에 한 번 OPI 성과급을 지급하지만, 지급 기준은 사측이 일방적으로 정해 통보하는 구시대적 방식"이라며 "SK하이닉스처럼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삼아야 직원들이 계획적인 삶을 설계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기박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위원장은 "현 제도는 직원들이 '회사가 주고 싶은 만큼만 주는 것'이라는 불신을 낳고 있다"며 "SK하이닉스는 영업이익의 일정 비율을 지급하고 상한선까지 없앴는데, 삼성은 여전히 불투명한 EVA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자회사 소속 조합원들도 차별 철폐를 요구했다. 최재영 삼성카드고객서비스노동조합 위원장은 "같은 성과를 내고도 자회사는 성과급에서 배제돼 왔다"며 "성과를 함께 만들었으면 보상도 함께 나누는 것이 상식"이라고 강조했다.

삼성그룹노조연대는 이날 △성과급 산정 기준을 영업이익의 15%로 전환하고 투명하게 공개 △모회사와 자회사 간 차별 철폐 △성과급 상한선 폐지 등 성과급 제도 개선을 위한 3대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삼성그룹노조연대는 "성과급은 깜깜이가 아니라 투명해야 한다"며 "노조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모든 계열사 노동자와 함께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