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그룹 13개 계열사 노조로 구성된 삼성그룹노조연대가 성과급 제도 개편을 공식 요구하면서 SK하이닉스에 이어 대기업 전반으로 논란이 확산할 조짐이다. SK하이닉스가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으로 배분한 데 이어, 삼성 노조까지 제도 개선을 요구하면서 대기업 전반에 압박이 커지고 있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그룹노조연대는 오는 30일 오전 11시30분 서울 서초구 서초타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과급 제도 개편을 촉구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는 전국삼성전자노조(전삼노)가 지도부 교체 후 재합류해 참여하면서 노조 전선 확대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노조연대는 입장문에서 "SK하이닉스는 이미 수년 전부터 영업이익의 10%를 직원에게 분배하는 투명한 성과급 제도를 시행해 왔고, 올해는 상한선까지 없애 노사 상생 구조를 강화했다"며 "하지만 삼성은 20세기부터 일방적으로 지급 기준을 정해왔고, 자회사에는 차등 지급하는 불공정 행태가 지속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SK하이닉스 노사는 올해 교섭에서 매년 영업이익의 10% 전액을 초과이익분배금(PS)으로 책정해, 개인별 산정 금액의 80%는 해당 연도에 지급하고 나머지 20%는 2년에 걸쳐 매년 10%씩 분할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비해 삼성전자의 성과급 체계는 복잡하고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지적이다. 삼성의 대표적인 성과급 제도는 OPI(초과이익성과급)와 TAI(목표달성성과급)다.
TAI는 반기별 목표 실적을 달성했을 때 지급되며, 개인 연봉이 아닌 기본급을 기준으로 산정된다. A등급부터 D등급까지 평가해 기본급의 최대 100% 수준이 성과급으로 제공된다.
OPI는 직전년도 경영실적을 바탕으로 초과이익의 20% 한도 내에서 연봉의 최대 50%까지 지급하는 구조다. 그러나 산정에는 영업이익에서 자본비용을 제외한 EVA(경제적부가가치)가 활용되는데, 구체적인 수치가 공개되지 않아 '깜깜이 성과급'이라는 비판이 이어져 왔다.
같은 해에도 사업부별 지급률이 크게 갈리고, 수조 원대 이익에도 성과급이 지급되지 않은 사례가 있었다는 점에서 노조의 문제제기가 반복돼 왔다.
전삼노는 EVA 대신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산정해야 한다고 꾸준히 요구해 왔으며, 2025년 임단협에서 즉각 반영되지는 않았지만 노사 간 성과급 개선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지난 6월까지 논의를 이어갔다.
이후 삼성그룹노조연대는 "30만 삼성 노동자의 대표성을 갖고 성과급 제도를 SK하이닉스처럼 투명하게 바꾸라"며 이재용 회장과 그룹을 공개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성과급 제도는 그간 삼성 노사관계의 핵심 쟁점이었다. 삼성전자가 일부 산정 기준을 공개했지만 여전히 모호하다는 비판이 이어졌고, 지급 시기마다 구성원들의 불만이 반복돼 왔다. 업계는 이번 기자회견이 성과급 개편 논란을 재점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에는 계열사별 노조 연대체 외에도 복수 노조가 활동 중이다. 이 가운데 초기업노조는 지난 2일 이재용 회장과 전영현 삼성전자 DS부문장(부회장), 노태문 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 등에게 '낡은 성과급 제도와 변함없는 회사'라는 제목의 공문을 전달했다.
이들은 공문에서 "삼성은 여전히 직원 누구도 계산 방식을 알 수 없는 EVA 기준을 고수하고 있으며, 성과급 개선 TF까지 운영했지만 이후 발표나 성과는 전혀 없었다"며 "깜깜이 성과급 제도를 끝내고 영업이익 기준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깜깜이 성과급"…삼성 노조, 이재용 회장에 제도 개선 요구
- SK하이닉스 노사, 임금인상 잠정합의…성과급 상한 폐지
- 삼성전자, '으뜸효율 가전' 판매 20% 증가…고효율 AI 가전 수요 확대
- 삼성그룹노조연대, 성과급 제도 개선 촉구…"영업이익 15%를 재원으로"
- [반복되는 성과급 논란 왜①] 이제는 매년 '노사 갈등' 불씨
- SK하이닉스, '산학연구과제 우수발명 포상 시상식' 개최
- [반복되는 성과급 논란 왜②] '갈등 제도'로 번져…본질은
- [반복되는 성과급 논란 왜③] SK하이닉스 후폭풍…흔들리는 보상 판도
- 삼성전자 초기업노조 "PSU제도, 직원 보상 아닌 경영진 위한 제도…성과급 축소 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