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본사 전경.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본사 전경. 사진=SK하이닉스

성과급(PS) 제도를 둘러싸고 갈등을 빚은 SK하이닉스 노사가 임금교섭 시작 3개월 만에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 전임직(생산직) 노조는 이날 오전 '2025년 임금교섭 잠정합의안'을 마련하고, 오후 이천과 청주캠퍼스에서 조합원들에게 주요 내용을 설명했다.

합의안에는 △기본급의 최대 1000%로 설정됐던 초과이익분배금(PS) 상한선 폐지 △임금 6.0% 인상 등이 담겼다.

특히 성과급은 매년 영업이익의 10% 전체를 재원으로 하고, 산정 금액의 80%를 당해 지급하며 나머지 20%는 2년에 걸쳐 이연 지급(매년 10%씩)하는 방식으로 개편된다.

기존에 '연봉의 최대 50%'로 제한됐던 지급 한도를 없애고 실적에 따라 보상이 강화되는 구조다. 새 기준은 향후 10년간 적용될 예정이다.

이번 합의는 노사가 극한 대립을 이어가던 상황에서 나온 성과다. 앞서 노조는 지난 5월 임금 8.25% 인상, PS 배분율 상향 및 상한 폐지 등을 요구했으나, 11차 교섭까지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창사 이래 처음으로 조합원 총력투쟁 결의대회까지 열렸다.

사측은 "지속 가능한 성과급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의견 수렴과 토론 과정을 거쳤다"며 "경영 실적과의 명확한 연계를 통해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불황기에도 보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합의가 내부 갈등을 봉합하는 동시에, 인재 확보 경쟁력 강화와 재무 건전성 제고 효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잠정합의안은 설명회와 조합원 찬반투표를 거쳐 이번 주 내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키워드
#SK하이닉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