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은행의 대표 모바일 앱 '하나원큐'가 단순 금융 서비스를 넘어 일상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 생활 플랫폼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공공서비스 및 생활 편의 기능에 더해, 플랫폼 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장기적 금융 솔루션 제공에 더욱 힘을 싣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하나은행은 해외여행객을 위한 '하나원큐 스마트패스' 서비스를 본격 시행했다. 하나원큐 앱에서 여권·안면정보·탑승권을 등록하면 인천국제공항에서 얼굴 인증만으로 출국장과 탑승구를 통과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환전지갑(외화 당일수령) △면세점 할인쿠폰 등 출국 전후 금융·비금융 서비스를 통합 제공한다.
또한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생활 안전정보 서비스를 앱에 도입해 위해식품 고지, 리콜 현황 등 실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신고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혜택 페이지도 '놀이터' 콘셉트로 개편해 시즌별 감성 콘텐츠와 다양한 금융 혜택을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플랫폼 협업 통한 장기 금융 솔루션 강화
하나은행은 단기적 수익보다 장기적인 금융 솔루션 제공에 방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네이버, 당근마켓 등 주요 플랫폼과 협업해 임베디드 금융으로 확장, 고객 자금의 안정성을 높이고 실질적 금융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네이버페이 머니 하나통장은 네이버페이와 연계해 고객이 네이버페이 머니를 하나통장에 예치하면 실시간 이체, 자동충전, 현금화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 자금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높였다.
당근머니 하나통장 역시 마찬가지다. 중고거래 대금 보관 및 이체, 안전결제 등 실생활에 밀착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객은 당근머니를 하나통장에 연동해 자금 관리와 거래 안전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하나원큐의 일상플랫폼화와 관련해 "단기 수익보다 장기적인 금융 솔루션 제공에 방점을 두며 타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해 고객 자금 안정성 문제 해결 등 실질적 금융 역할 수행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단순 금융거래 넘어 종합 생활 편의 서비스로 플랫폼화
하나원큐의 생활 플랫폼화 배경에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고객 행동 변화가 있다. 비대면 서비스가 일상화되고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가 주요 고객층으로 부상하면서 단순 금융거래를 넘어선 종합 생활 편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실제로 하나은행은 지난 2020년부터 하나원큐의 플랫폼화를 위해 뉴 하나원큐를 출시했고 AI 금융 서비스를 업그레이드 하는 등 서비스를 확대해 나갔다.
현재는 행정안전부 등 공공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정부24 전자증명서, 국민비서, 탄소중립 실천 포인트, 고속도로 통행료 납부·환불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하나원큐 앱에서 제공하고 있다. 또한 자산관리 기능을 대폭 강화해 고객이 총자산·총지출을 한눈에 파악하고 맞춤형 자산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고도화했다.
은행권에서는 하나원큐를 포함한 기존 앱들이 단순 금융 앱을 넘어 고객의 일상과 자산을 책임지는 장기적 금융 파트너로 변모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플랫폼 협업과 공공서비스 연계, 자산관리 고도화 등 다양한 혁신을 통해 실질적 금융 역할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전망이다.
- 국민은행, 삼성월렛 서비스에 11억 투입…임베디드 강화
- '이자장사' 옛말…임베디드 금융 사활 거는 은행권 [이슈 더보기]
- [금융×스포츠브랜딩①] 하나은행, K리그와 동행…팀별 적금까지
- 하나은행, 학자금대출 장기연체 청년 대상 최대 40만원 지원
- [은행앱 생활플랫폼 대전②] KB스타뱅킹, '국민 생활 OS' 질주
- [은행앱, 생활플랫폼 대전③] 신한 SOL뱅크, 에브리웨어 뱅킹 가속화
- [은행앱 생활플랫폼 대전④] 우리WON뱅킹, 전세안전부터 통신까지 생활밀착 확장
- [은행앱 생활플랫폼 대전⑤] NH올원뱅크, '농협 DNA'로 슈퍼앱 추격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