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젤스 CI.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젤스 CI.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는 미국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 젤스와 인수 계약을 체결하고 커넥티드 케어 서비스 확대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커넥티드 케어는 웰니스 중심의 일상 건강관리와 전문 의료서비스를 연결해 갤럭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건강을 관리하고, 나아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삼성헬스의 핵심 비전이다.

2016년 설립된 젤스는 미국 대형 병원 그룹 프로비던스 헬스 시스템에서 분사한 기업으로, 현재 미국 내 병원 500여곳과 디지털 헬스케어 설루션 기업 70여곳과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젤스 플랫폼은 병원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한 뒤 당뇨, 임신, 수술 등 질환별로 적합한 헬스케어 설루션을 처방·추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환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어 의료진과 환자 간 정보 연계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삼성전자는 젤스 인수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의료 서비스와 연결하는 커넥티드 케어 서비스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환자의 일상 데이터와 병원 의료기록 간 정보 단절 문제를 해소하고, 환자 맞춤형 예방 중심 헬스케어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구상이다.

삼성전자는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를 가전제품 등 다양한 기기와도 연결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로 확장할 방침이다. 이번 젤스 인수는 커넥티드 케어 전략의 중심축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은 "삼성전자는 혁신 기술과 업계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사람들이 일상에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라며 "젤스의 폭넓은 헬스케어 네트워크와 전문성을 더해 초개인화된 예방 중심 케어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앞서 로봇(레인보우로보틱스), AI(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 메드텍(소니오), 오디오·전장(룬, 마시모 오디오 사업부), AI 데이터센터 중심의 공조(플랙트) 등 미래 성장 산업 관련 기업을 잇따라 인수해왔다. 젤스 인수 역시 이 같은 전략적 행보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인수 절차는 연내 마무리될 예정이다.

키워드
#삼성전자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