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은행 본사 전경. 사진=NH농협은행
NH농협은행 본사 전경. 사진=NH농협은행

NH농협은행이 LG CNS와 함께 개발한 생성형 AI 플랫폼을 정식 오픈하고 운영에 들어갔다. 

NH농협은행은 지난 4일 업무 프로세스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자체 개발 생성형 AI 플랫폼을 정식 오픈하고 운영을 시작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플랫폼은 농협은행이 수십 년간 축적해온 금융 데이터와 업무 경험을 기반으로, LG CNS와 공동 개발한 전용 시스템이다.

범용 AI와 달리 금융 업무에 특화된 점이 핵심이다. 고객의 실질적인 니즈와 현장의 활용도를 고려해 설계됐으며, 기존 금융시스템과의 유기적인 연결로 실무에서 곧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플랫폼은 △내부규정 및 상품 정보를 실시간 검색할 수 있는 ‘지식 정보 검색 에이전트’ △개인고객의 특성에 맞는 상담 화법을 제안하는 ‘리테일 영업지원 기능’ △법인고객에게 적합한 정책자금을 자동 추천하는 ‘기업금융 맞춤추천 기능’ △문서 요약과 메일 작성 등 디지털 작업을 지원하는 ‘디지털 어시스턴트 기능’ 총 4가지 핵심 기능을 제공한다. 

농협은행은 향후 AI가 과업을 스스로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기술도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단순 반복 업무를 넘어 자율성과 학습 능력을 갖춘 AI 기반 자동화 환경을 구현하고, AI 데이터와 경험을 그룹 차원에서 공유해 NH농협금융지주 전반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강태영 농협은행장은 “이번 AI 플랫폼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실제 영업현장에서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유능한 AI 동료’를 구현하는 데 의미가 있다”며 “직원과 고객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금융 변화를 이끌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키워드
#농협은행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