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2024-2025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사진=LG전자
LG전자 2024-2025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사진=LG전자

LG전자는 '2024-2025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고 '모두의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 실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30일 공개했다.

LG전자가 지난해 국내외 사업장에서 배출한 직접(Scope1)과 간접(Scope2) 온실가스는 총 91만톤으로 2030년 목표치인 87.8만 톤에 근접했다. 이는 2017년 대비 54.6% 감축을 목표로 생산 공정에 고효율 설비를 도입하고 재생 전력 전환을 확대해온 결과로, 제품 사용단계(Scope3) 온실가스 감축에서도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LG전자 7대 주요제품 사용단계 탄소배출량은 2020년 대비 19.4% 감소했다. 이는 국내 가전업계 최초로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 SBTi 검증을 통해 수립한 2030년까지 20% 감축 목표에 근접한 성과다.

자원순환 분야도 빠르게 진척되고 있다. 지난해 LG전자 국내외 사업장의 폐기물 재활용률은 97.4%로 2030년 목표치(95%)를 넘어섰다. 지난해 회수한 폐전자제품은 53만2630톤으로, 2006년 이후 누적 500만톤을 돌파했다.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량도 전년 대비 36% 늘어 순환경제 실현을 가속화하고 있다.

접근성 강화를 위한 활동도 꾸준히 확대 중이다. 성별과 나이, 장애 유무에 상관없이 제품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LG 컴포트 키트'는 14종으로 늘었다. 올레드 TV에 '음성으로 메뉴 읽어주기', '보청기·스피커 동시듣기' 기능이 적용됐고 높낮이 조절 및 촉각 키패드를 갖춘 키오스크 신제품도 선보였다. 서비스 측면에서는 장애인 케어, 수어 상담, 시니어 전용 상담, 매장 내 문화강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LG전자는 이사회 중심의 책임경영 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사회 산하 ESG 위원회 역할을 확대하며 협력사에 대한 ESG 리스크 점검과 컨설팅도 지원한다. 특히 국제 RBA 기준에 맞춘 제3자 ESG 인증심사를 통해 노동, 안전보건, 환경 윤리 등 공급망 전반에 걸친 상생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대외 평가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LG전자는 S&P글로벌의 '기업 지속가능성 평가(CSA)'에서 2년 연속 최상위 등급 'Top 1%'를 기록했고, MSCI ESG 평가에서는 5년 연속 A등급을 획득했다. 다우존스 ‘Best-in-class World Index’에도 13년 연속 포함됐다.

한편 LG전자는 2006년부터 매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으며, 해당 보고서는 LG전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