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12일(현지시각) 가전제품용 철강 파생제품에 50%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국내 가전업계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수출 주력 제품 다수가 이번 관세 인상 대상에 포함됐으며, 실제 시행일도 오는 23일로 촉박해 북미 시장을 겨냥한 생산 및 유통 전략의 전면 재조정이 불가피해졌다.
미국 상무부는 이날 연방 관보를 통해 냉장고·건조기·세탁기·식기세척기·냉동고·스토브·레인지·오븐 등을 철강 파생제품 관세 부과 품목에 새롭게 포함한다고 공지했다. 해당 품목에 대한 50% 관세는 오는 23일부터 적용된다.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즉각적으로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양사는 미국에 생산 거점을 보유하고 있으나, 현지 생산은 세탁기 등 일부 제품에 한정돼 있다. 주요 가전제품은 한국·멕시코·베트남 등에서 제조돼 미국으로 수출되는 구조여서, 대부분의 품목이 고율 관세 영향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가전제품은 철강 사용 비중이 높아 원재료 가격 상승의 영향을 직접 받는다. 이로 인해 제조원가 상승과 함께 수익성 저하로 연결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에 삼성과 LG 등 주요 기업들은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거점 재편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전자는 콘퍼런스콜에서 "프리미엄 제품 비중 확대와 함께, 글로벌 제조 라인을 활용한 일부 물량의 생산지 이전을 검토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백악관에서 열린 각료회의에서 "삼성이 관세 영향으로 미국 내 대규모 설비 투자를 결정했다고 들었다"며 "관세가 없었다면 그들은 그렇게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LG전자는 세탁기·건조기 생산량을 테네시 공장으로 순차적으로 이전 중이다. 이를 통해 미국향 가전 매출 중 약 10% 후반대까지 현지 생산 비중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지역별 관세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생산지를 조정하는 '스윙 생산 체제'를 통해 대응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조주완 LG전자 대표는 4월 서울대 특별강연에서 "미국 현지 공장 건설은 최후의 선택지"라며 "생산지 이전이나 가격 조정 등 현실적인 옵션부터 단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