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금융감독원
사진=금융감독원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보통주자본비율이 13.20%로 전분기 대비 13bp 상승했다. 모든 은행이 규제비율을 상회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자본건전성을 유지한 가운데, 카카오·케이·SC 등 일부 은행은 자본비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보통주자본비율은 13.20%로 전분기(13.07%) 대비 13bp 상승했다. 같은 기간 기본자본비율과 총자본비율은 각각 14.53%, 15.68%로 전분기 대비 14bp, 8bp 올랐다. 단순기본자본비율은 6.75%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보통주자본비율 규제비율은 8.0%, 기본자본비율은 9.5%, 총자본비율은 11.5%다.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은 이 기준에 1%p가 가산된다. 단순기본자본비율은 3.0%가 기준이다. 오는 5월부터는 경기대응완충자본 1%가 추가로 적용돼 규제비율이 상향된다.

1분기 기준 모든 국내은행의 자본비율은 규제비율을 웃돌았다. 특히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KB·씨티·SC·카카오은행은 16.0%를 넘어 안정적인 수준을 보였다. 반면 BNK는 14%를 밑돌며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보통주자본비율 기준으로는 씨티·SC·카카오·토스 등이 14% 이상을 기록했고, KB·하나·신한·수출입·산업·케이은행 등도 13% 이상으로 집계됐다.

대부분의 은행은 전분기 대비 자본비율이 상승했다. 씨티은행은 51bp, iM은 31bp, 우리은행은 30bp 상승하며 뚜렷한 개선세를 보였다. 다만 카카오(–116bp), 케이(–28bp), SC(–17bp), 수협(–15bp), 수출입(–4bp), BNK(–2bp) 등 6개 은행은 하락했다.

금감원은 국내은행의 자본비율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며 규제기준을 충분히 상회하고 있다는 점에서 건전성이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국내 경기회복 지연, 미국 관세 정책 등 불확실한 대내외 리스크가 지속되는 만큼 은행들의 손실흡수능력 확보를 위한 자본비율 모니터링을 이어갈 방침이다.

키워드
#BIS비율 #은행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