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SKT)이 유심을 교체하지 못한 채 출국한 고객이 해킹 피해를 당할 경우 책임을 지겠다고 밝혔다. 사이버 침해 사태로 인한 위기 대응에 본격 나선 것이다.
3일 서울 중구 삼화타워에서 열린 일일 브리핑에서 김희섭 SKT PR센터장은 "현재 비정상 인증 시도 차단(FDS) 시스템이 작동 중이므로 유심을 교체하지 않았다고 모든 정보가 유출되진 않는다"며 "비행 시간이 촉박해 유심을 교체하지 못하고 출국했을 경우에도 해킹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면 당연히 책임지고 조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오전 9시 기준 SKT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자는 1714만명, 유심 교체 완료 고객은 92만명으로 집계됐다. SKT는 오는 14일부터는 해외에서도 비정상 단말기 탐지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유심 보호 서비스 2.0'을 도입할 계획이다.
신규 가입 유치 제한 범위도 확대된다. 당초 T월드 매장(2600곳)에만 적용하겠다던 방침을 바꿔 판매점과 온라인 채널까지도 신규 영업을 최대한 자제하기로 했다. 다만, 판매점의 영업 손실 보상안은 아직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않은 상태다.
한편, 최근 SNS '엑스(X)'에 올라온 고객 개인정보 판매 글과 관련해선 해킹 사고와 무관하다는 입장도 내놨다. 김 센터장은 "과기정통부 조사 결과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는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현재로서는 당사 해킹과는 별개 사안이며, 경찰 수사를 통해 명확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SKT는 현재 비상경영체제를 최고 수준으로 격상해 전사 대응에 돌입했다. 임원들은 주말을 포함해 매일 오전 7시 비상회의를 열고 있으며, 연휴 기간에는 공항 등 유통 현장에 직접 투입될 예정이다.
유영상 대표이사(CEO)는 지난 2일 사내 메시지를 통해 "사이버 침해사고로 고객의 일상과 감정이 심각하게 훼손됐다"며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직면한 만큼 모든 경영 활동을 고객 관점에서 재점검하겠다"고 전했다.
- SKT, "유심 정보만으로 금융자산 탈취 못해"
- "해킹, SKT가 가장 늦었다"… 휴대폰 판매대리점 안내문에 소비자 '눈살'
- SKT "전국 2600여개 T월드 매장 신규 가입자 모집 중단"
- 정부, SKT에 유심 부족 해소 전 '가입자 유치 금지' 행정지도
- 개인정보위, 딥페이크 탐지 시스템 구축에 추경 13억원 편성
- 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1991만명… 교체는 95만6000명"
- 유영상 SKT 대표 "위약금 면제 시 한 달 500만명 이탈… 7조원 손실"
- 과기부, SKT 해킹 뒤 기업·각 부처에 악성코드 점검 요청
- SK텔레콤 "유심 교체 없이 정보 변경 가능한 솔루션 도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