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행연합회
사진=은행연합회

은행연합회와 19개 사원은행이 28일 은행장 간담회를 열고 ‘고객에게 신뢰받는 판매환경 조성을 위한 자율 결의’를 채택했다. 특히 고난도 금융투자상품인 주가연계증권(ELS) 판매채널을 대폭 개편해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기로 했다.

은행권은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커진 국민 자산관리 수요에 맞춰, 소비자 보호 체계 확립을 핵심 과제로 삼았다. 이날 간담회에서 은행장들은 금융투자상품 판매채널 개편, 판매 제도 및 관행 개선, 소비자 이익 중심 경영 문화 확립과 내부통제 체계 강화를 주요 실행방안으로 결의했다.

구체적으로 고난도 ELS는 소비자 보호장치를 갖춘 거점점포에서만 판매하고, 자격요건과 판매요건을 모두 충족한 전담 판매직원만이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기타 고난도 금융투자상품 역시 은행 내 별도 판매창구를 마련해 분리 판매하며, 은행·증권 복합점포에서도 동일한 판매 요건을 적용하기로 했다.

또한 소비자의 손실감수능력에 맞는 계약 체결을 위해 적합성 원칙을 내실화하고, 위험성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의무화한다. 금융상품 이해도를 높이는 교육과 함께 투자권유 규제를 엄격히 적용해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성과보상체계(KPI)도 고객 이익 중심으로 재설계한다. 불완전판매를 막기 위해 내부통제와 소비자 보호를 중시하는 리스크 관리 문화를 조성하고, 금융투자상품 판매 전 과정에 걸쳐 내부통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조용병 은행연합회 회장은 “은행은 소비자의 금융파트너로서 올바른 금융 선택을 지원해야 한다”며 “소비자 권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영업환경을 구축하고, 판매채널 보호장치와 내부통제 강화를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은행장들은 "이번 자율 결의를 계기로 불완전판매 예방과 소비자 보호 인프라 구축, 고객 중심 문화 정착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결의된 사항은 각 은행들의 내규에 반영돼 조속히 시행될 예정이다.

이번 자율 결의에는 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SC제일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씨티은행, 수협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 19개 은행이 참여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