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이 최근 해킹 사고가 발생한 SK텔레콤을 사용하는 계열사 임원들에게 유심(USIM) 교체를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최근 SK텔레콤을 사용하는 주요 계열사 임원들을 상대로 "유심을 반드시 교체하라"는 내용의 공지를 전달했다.
삼성전자는 전날 임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SK텔레콤의 유심 보호 서비스를 신청하거나, 유심을 교체하라"고 안내했다.
이와 함께 "유심 보호 서비스 이용 시 해외 로밍이 불가능하므로 출장 시 해제를 권고하며, 유심 교체 시 모바일 사원증 재발급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일부 계열사는 해킹 사고 직후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을 우선 권고했다가 이후 전원 유심 교체 지침으로 방침을 바꾼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임원들은 이미 유심을 교체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전날에는 계열사별 유심 교체 완료 여부를 점검하는 작업도 이뤄졌다.
앞서 SK텔레콤은 지난 19일 오후 11시40분경 해커가 삽입한 악성코드로 인해 일부 이용자의 유심 관련 정보가 유출된 정황을 포착했다고 22일 밝혔다. 유출된 정보는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유심 고유식별번호 등으로 알려졌다.
유심 정보가 유출될 경우, 해커가 복제폰을 제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SK텔레콤은 자사 애플리케이션(T월드)을 통해 무료로 가입할 수 있는 '유심 보호 서비스' 이용을 권장하고 있다. 다만 SK텔레콤이 가입 권고한 유심 보호 서비스만으로는 정보 유출 우려가 해소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이용자들은 아예 유심 교체에 나선 상태다.
- SK텔레콤, 28일부터 유심 무상교체… 보안 사고 수습 총력
- SKT, 카카오 지분 전량 매각… 4133억원 실탄 확보
- '해킹 피해' SK텔레콤, 알뜰폰 고객에도 유심보호서비스 제공
- SK텔레콤 HSS 뚫렸다면 '디지털 신원 도용·심 스와핑' 걱정해야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SKT 유심 해킹 사고에 긴급 지시
- 삼성전자, 터치 설루션 탑재한 '더 프리미어 5' 출시
- SK텔레콤, 사이버 사고 후속 대응… '유심 무료 교체 예약 시스템' 운영
- SKT 유심보호서비스, 40만명 몰려 '먹통'
- 삼성전자, '비스포크 AI 콤보' 국내 누적 판매 10만대 돌파
- 삼성전자, 삼성SDI 유증에 3340억원 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