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제천첨단물류센터 조감도. 사진=쿠팡
쿠팡 제천첨단물류센터 조감도. 사진=쿠팡

최근 5년간 매출이 400% 이상 증가한 국내 500대 기업은 13곳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체 기업의 매출 증가율이 42.1%였던 점을 고려하면 이들 기업은 '퀀텀점프'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23일 연합뉴스가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9년과 2024년 결산보고서를 제출한 500대 기업 중 금융사를 제외한 407곳의 지난해 총매출은 3064조원으로, 2019년 2156조원에서 42.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10조원에서 195조원으로 77.5% 늘었다.

조사 대상 중 매출이 400% 이상 늘어난 곳은 전체의 3.2%인 13곳이다. 매출 규모가 10조원 이상인 기업 중에서는 쿠팡이 유일했다. 쿠팡은 2019년 7조2000억원에서 지난해 38조3000억원으로 435% 성장했다.

10조원 미만 기업 중에서는 포스코플로우(1725.1%)와 CJ올리브영(1209.9%), SGC에너지(728.5%), 우아한형제들(664.5%), 한화에너지, 삼성바이오로직스(548.1%) 등이 400% 이상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매출 증가율이 100∼400%인 기업은 44곳이며,이 가운데 다우기술, HD현대중공업, LG이노텍, SK하이닉스, E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9곳은 매출이 10조원을 넘었다.

최근 5년간 매출이 2배 이상 증가한 57개 기업의 매출 증가액은 총 254조원으로 같은 기간 전체 500대 기업의 매출 증가액(908조원) 중 27.9%를 차지했다.

성장 배경으로는 신시장 및 신사업 진출이 23곳(40.4%)으로 가장 많았다. 자체 역량 강화가 20곳(35.1%), 기업 간 협력 및 인수합병(M&A)이 14곳(24.6%)으로 뒤를 이었다.

CJ올리브영은 고객 리뷰 기반의 상품 큐레이션 고도화로 매출을 끌어올렸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R&D 및 생산 능력 강화를 통해 4조547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포스코플로우는 물류 자동화 등 신사업 확대에 힘입어 1700% 넘는 매출 성장을 이뤘다. 우아한형제들은 배달앱 외 유통망 다각화로 외형을 확장했다.

이 같은 성장세는 매출 '10조 클럽' 확대에도 영향을 미쳤다. 2019년 39곳에 불과했던 10조 클럽은 지난해 네이버, LG이노텍, 한화에어로스페이스, HMM, HD현대중공업 등의 합류로 59곳까지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매출이 줄어든 기업도 68곳에 달했다. 이 중 10조원 이상 기업은 롯데쇼핑과 삼성디스플레이 2곳이다.

특히 태영유니시티는 부동산 PF 위기와 모회사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여파로 매출이 95.0% 감소했다. 롯데쇼핑(-20.6%)과 SK네트웍스(-41.3%), HD현대인프라코어(-49.7%), LG생활건강(-11.4%), 호텔롯데(-31.5%), 호텔신라(-31.0%) 등도 역성장을 겪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