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새마을금고중앙회.
사진=새마을금고중앙회.

새마을금고중앙회는 금융소비자 자산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입출금 등 이상 거래를 파악해 차단하는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을 고도화했다고 14일 밝혔다.

FDS는 고객의 금융서비스 접속 정보와 거래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이상금융거래를 확인하고 사전에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금융당국의 FDS 운영 가이드라인이 제시한 51개 이상거래탐지 시나리오에 더해 새마을금고 특성을 반영한 250개 이상의 시나리오를 고안해 적용했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말 기준 전국에서 1276개 법인과 3249개 점포를 운영 중이다. 특히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89개 인구감소지역에서 400여 개 점포를 유지하며 금융사기에 취약한 지역 중장년·고령층 고객 비중이 높은 상황이다. 이에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이번 FDS 고도화 과정에서 중장년·고령층을 겨냥한 고액 편취와 명의 도용 사기를 방지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세분화해 고객 자산 보호를 더욱 강화했다.

지난 2023년 말 기준 금융권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액은 총 1965억원으로 전년 대비 35.4% 증가했으며, 1000만원 이상의 고액 피해 사례가 크게 늘어 FDS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새마을금고는 신종 보이스피싱 등 사기 유형을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탐지 시나리오를 수시로 개선해 진화하는 사기 수법에도 신속히 대응할 계획이다.

새마을금고의 보이스피싱 대응 강화는 작년부터 본격화됐다. 지난해 7월 FDS 모니터링센터를 오픈해 365일 전담 인력이 실시간으로 의심 거래를 확인하고 있으며 이상금융거래로 확인되면 즉각 조치를 취하고 있다. 앞으로 업무 개선과 인력 확충으로 모니터링 업무의 효율성과 품질을 높일 예정이다.

또 지난해 10월 보이스피싱 악성앱 탐지를 강화하고 12월에는 명의 도용 탐지 솔루션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고객 휴대전화 내 악성앱을 차단해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예방하고, 개인정보 유출로 발생할 수 있는 명의 도용 피해도 방지하고 있다.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앞으로도 신규 보이스피싱 사기 유형과 피해 사례를 지속적으로 분석하며 이상금융거래 탐지를 고도화해 새마을금고 고객의 재산 보호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