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CI.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 CI.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이 다음달부터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디지털화폐 실거래 테스트(프로젝트 한강)를 진행한다.

참가자는 자신의 은행 예금을 디지털화폐인 '예금 토큰'으로 전환해 온·오프라인에서 결제에 사용할 수 있다.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은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디지털화폐 테스트 일반 이용자 실거래 실시 계획을 마련하고 오는 3월 25일부터 참가자 사전 모집에 들어간다고 24일 밝혔다. 본격적인 실거래는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실거래 실험에는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기업은행 부산은행 등 총 7개 은행이 참여한다.

참가자는 본인의 예금을 '예금 토큰'으로 전환해 온·오프라인에서 결제에 사용할 수 있다.

참가 대상은 만 19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으로 참가은행의 수시입출식 예금 계좌를 보유해야 한다.

모집 인원은 총 10만명으로 제한되며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은 각 1만6000명 기업은행과 부산은행은 각 800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참가자는 4월 1일 오전 10시부터 해당 은행의 모바일 앱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전자지갑을 개설할 수 있다.

전자지갑 개설 앱은 국민은행은 스타뱅킹, 신한은행은 SOL Bank, 우리은행은 우리WON뱅킹, 하나은행은 하나원큐, 기업은행은 i-ONE뱅크, 농협은행은 NH올원뱅크, 부산은행은 디지털바우처이다.

한국은행은 테스트의 안정성을 고려해 일반 이용자의 예금 토큰 보유 한도를 100만원으로 총 전환 한도를 500만원으로 설정했다. 일반 이용자는 보유 한도를 초과해 예금 토큰을 전환할 수 없으며 총 전환 한도를 넘을 경우 추가 전환이 제한된다.
 

사진=한국은행
사진=한국은행

예금 토큰은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사용처에서 결제에 이용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으로는 교보문고 전 매장(온라인 제외), 세븐일레븐 전 매장(무인점포 제외), 이디야커피(부산·인천 중심 100여개 매장), 농협 하나로마트(6개 지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온라인 사용처로는 현대홈쇼핑(모바일 웹 및 앱), 모드하우스(PC 및 모바일 웹), 배달 플랫폼 땡겨요(모바일 앱) 등에서 결제가 가능하다.

예금 토큰 결제는 QR 코드를 통해 이루어지며 전자지갑 발급 은행과 관계없이 모든 사용처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민은행 전자지갑 이용자가 신한은행 가맹점에서 예금 토큰으로 결제할 수 있다.

예금 토큰을 통해 결제할 경우 사용처는 판매 대금을 즉시 받을 수 있으며 전자지갑 발급 은행에 별도 수수료를 지급하지 않아 상점의 유동성 관리 및 수수료 부담 완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은행은 디지털 바우처 프로그램과 연계된 실거래 실험도 함께 진행한다. 이번 실험에는 서울시 청년문화패스 대구 교육 용품 판매점 전용 바우처, 신라대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대학 내·인근 상점 전용 바우처 등이 포함된다.

각 지자체에서 관련 절차가 진행 중이며 디지털 바우처 프로그램 관련 실거래는 4월에서 5월 중 시작될 예정이다.

참가은행 공통 시스템의 유지·보수 시간은 매일 오후 11시 20분부터 다음 날 자정 12시 20분까지 1시간이다.

점검 시간 중에는 예금 토큰 잔액 조회는 가능하지만 사용처 결제 예금과 예금 토큰 간 전환 등은 제한된다. 한국은행과 참가 은행들은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실거래 기간 중 24시간 비상 대응 조직도 운영할 예정이다.

실거래 종료 후 이용자가 보유한 예금 토큰 잔액은 본인의 수시입출식 예금 계좌로 일괄 입금된다.

한국은행은 이번 실거래 실험 종료 후 개선 필요 사항을 반영하고 시스템 정비를 거쳐 프로그래밍 기능에 기반한 개인 간 송금 등 추가 활용 사례 발굴 바우처 프로그램 확대 등을 포함한 후속 실거래를 추진할 계획이다.

프로그래밍 기능에 기반한 송금이 가능해지면 자녀에게 용돈을 주면서 책이나 학용품을 구매하는 데 사용하도록 사용처를 제한하는 식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 한국은행 설명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