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CI.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 CI.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이 7개 국가와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 활용 국가간 지급결제 개선 프로젝트 '아고라 프로젝트'를 실시한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기축통화국(미국·영국·일본·프랑스·스위스)·멕시코의 중앙은행, 국제금융협회(IIF)와 토큰화된 예금(tokenised commercial bank deposits)과 기관용 중앙은행 화폐(tokenised wholesale central bank money)를 활용해 통화시스템 개선 가능성 모색에 협력한다.

현행 국가간 지급결제는 상이한 법률, 규제 및 기술 준수요건, 표준 시간대 차이 등 문제가 중첩돼 있어 비용이 높고 속도가 느리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그간 각국이 진행해온 국내 사례 중심 실험을 넘어 해외송금 등 국가간 지급결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지 살펴볼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주요 5대 기축통화국이 참여할 뿐만 아니라 각 참가국에서 다수의 민간 금융기관이 참여할 계획으로 BIS 관련 프로젝트 중 가장 큰 규모로 개념검증(PoC) 단계를 넘어 실거래 구현 전 단계인 프로토타입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한국은행은 "글로벌 금융인프라를 만드는 새로운 스탠다드 설정작업에 한국이 처음부터 참여하게 되었다는 점, 이를 통해 한국 민간 기관이 신규 사업영역을 발굴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프로젝트에 한국이 기축통화국과 함께 참여하게 된 건 한국이 그동안 진행해온 토큰화된 예금을 활용하는 CBDC 연구·개발 성과가 국제사회에서 인정받은 덕이다.

아울러 한국이 주요 무역국이자 IT 강국으로서 무역금융 등에 활용할 아이디어를 발굴·제시할 것이라는 기대도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은행은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CBDC 파일럿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추진해가는 한편 IIF와 함께 국내 민간부문 참여를 지원하고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