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21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그러나 지난 1월 흑자 폭은 100억 달러 가까이 줄어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설 연휴로 조업일수가 감소한 데다 석유제품과 자동차 등 비IT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이 둔화한 영향이 컸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 경상수지는 29억4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2월(123억7000만 달러)보다 94억3000만 달러나 감소한 규모다. 작년 같은 달(30억5000만 달러)과 비교하면 1억1000만 달러 줄었다.

경상수지 흑자 축소의 주요 원인은 상품수지 흑자의 감소다. 1월 상품수지는 25억 달러 흑자로 집계됐는데 이는 작년 12월(104억3000만 달러)의 4분의 1 수준이다. 작년 1월(43억6000만 달러)보다도 18억6000만 달러 적다.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9.1% 감소한 498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23년 9월(-1.6%)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인 것이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7.2% 증가했으나 지난해 12월(30.6%)에 비해 증가 폭이 크게 줄었다. 반면 석유제품(-29.2%)과 승용차(-19.2%) 등 비IT 품목의 감소 폭은 컸다.

지역별로도 주요 교역국으로의 수출이 감소했다. 중국(-14.0%) EU(-11.6%) 미국(-9.4%) 일본(-7.7%) 동남아(-3.8%)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수출이 줄었다.

수입은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473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6.2% 감소한 수치다.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원자재 수입이 9.8% 감소했으며 곡물(-22.7%)·승용차(-8.2%)를 비롯한 소비재 수입도 10.3%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20억6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특히 여행수지는 겨울 방학과 설 연휴로 해외여행객이 늘어나면서 적자 폭이 전월(-9억5000만 달러)보다 커진 16억8000만 달러였다. 반면 운송수지는 선박 용선료 증가 영향으로 흑자 폭이 확대됐다.

본원소득수지는 26억2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지만 이는 작년 12월(47억6000만 달러)보다 21억4000만 달러 축소된 것이다.

배당소득수지가 35억9000만 달러에서 19억 달러로 급감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이자소득수지도 같은 기간 12억9000만 달러에서 8억8000만 달러로 감소했다.

이전소득수지는 1억2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전월(-7억1000만 달러)보다 적자 폭이 축소됐지만 작년 같은 달(-1억4000만 달러)과 비교하면 2000만 달러 확대됐다.

금융계정 순자산은 37억2000만 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9억4000만 달러 감소한 반면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12억3000만 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125억5000만 달러 증가한 반면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2억9000만 달러 줄었다.

파생금융상품은 10억2000만 달러 증가했고 기타투자는 현금 및 예금을 중심으로 자산이 15억4000만 달러 증가했다. 반면 부채는 기타부채를 중심으로 49억7000만 달러 늘었다. 준비자산은 45억5000만 달러 감소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