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자산운용은 미국 S&P500에 투자하는 KODEX 미국S&P500 ETF의 순자산이 1년만에 4배이상 성장하며 4조원을 넘어섰다고 19일 밝혔다.
1년 전 7926억원 수준이던 순자산이 405% 늘어나며 4조21억원에 달한 것으로 이는 순자산 1조원 이상 주식형 ETF 18개 중에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KODEX 미국S&P500은 이러한 성장세에 힘입어 전체 주식형 ETF 중 순자산 기준 순위가 1년 전 18위에서 4위로 급상승했다.
KODEX 미국S&P500의 성장세는 상품 운용에서 발생하는 모든 비용이 반영돼 있는 수익률에서 차별적인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 상품은 0.0062%의 낮은 총보수를 적용하고 있지만, 동종 패시브 상품들과 실제 수익률 차이는 이 보다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KODEX 미국S&P500의 1년 수익률 32.7%, 3년 74.5%, 2021년 4월 상장 이후 101.9%는 모두 동종 상품 대비 최고 수익률이면서, 최대 수익률 차이가 1년 1.12%p, 3년 1.02%p, 2021년 4월 상장 이후 2.05%p에 달했다.
대표지수를 추종하는 일반형 상품임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크게 증가해 개인의 경우 1년만에 9225억원의 순매수가 유입되며 누적으로 1조3000억원에 달하고 있다. 집계가 되지 않는 퇴직연금계좌에서의 순매수까지 더하면 그 숫자는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된다.
KODEX 미국S&P500은 미국 증시에 상장된 기업 중 미국을 대표하는 시가총액 500개 대형우량주로 구성된 S&P500 지수에 투자하며 애플, 엔비디아, 유나티드헬스그룹, 일라이릴리, 비자, JP모건체이스, 엑슨모빌, 코스트코처럼 테크놀로지, 헬스케어, 금융, 소비재 등 섹터 분산이 잘 되어 있는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다.
한편 이 상품은 기획재정부의 '2024년 세법개정 후속 시행령 개정안'이 발표되면서 지난 달 24일 TR형(분배금 자동재투자)에서 분배금 지급형으로 상품 유형을 변경한 바 있다. 이에 따라 4월 마지막 영업일을 기준으로 5월 둘째 영업일에 첫 분배금을 지급할 예정이며, 이후 1월, 4월, 7월, 10월을 기준으로 분기 분배를 실시한다.
삼성자산운용은 이러한 갑작스러운 유형 변경을 감안해 지난 7일 기존 투자자들의 자산 증대와 신규 연금 장기 투자자들에게 좋은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자 총보수를 0.0062%로 인하해 적용하고 있다.
김도형 삼성자산운용 ETF컨설팅본부장은 "해외 투자형 상품의 경우 고정 비용인 총보수는 물론, 기타비용과 매매수수료 외에도 환전 비용 등이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비용이 반영되어 있는 수익률을 중심으로 투자자 본인의 투자 목적과 성향 등에 맞춰 적합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특히 S&P500은 개인 투자자들이 투자의 기본 대상으로 인식할 정도로 가장 선호하는 상품인 만큼 KODEX 미국S&P500이 최고의 수익률을 앞으로도 이어갈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삼성운용 'KODEX 미국나스닥100' 8개월만에 순자산 1조원↑
- 삼성운용 ‘KODEX 미국반도체’ ETF 명칭 변경
- 삼성운용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비과세 힘입어 순자산 2배↑
- 삼성자산운용 KODEX, 순자산 업계 최초 70조 넘었다
- ETF 투자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수익률'
- 삼성운용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순자산 상승세 매섭다
- 삼성운용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올해 개인 순매수 유입 1위
- 삼성자산운용 '삼성글로벌휴머노이드로봇 공모펀드' 국내 첫 출시
- 삼성자산운용, 삼성한국형TDF2050(UH) 3년 장기수익률 1위
- 삼성운용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올해 개인 순매수 전체 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