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금 없는 국내 주식 시세차익과 장내 파생상품 수익을 활용해 매월 고배당과 추가 수익을 추구하는 국내 자산 연계 타겟커버드콜에 대한 투자자들의 자금유입이 더 빨라지고 있다.
삼성자산운용은 최초로 선보인 국내 타겟커버드콜 ETF인 'KODEX 200타겟 위클리커버드콜'의 순자산이 7영업일만에 1000억원 늘어나며 총 순자산 3000억원을 돌파했다고 24일 밝혔다.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은 코스피200을 활용한 국내 최초 타겟커버드콜 ETF로 연 15% 프리미엄을 목표로 주단위 콜옵션매도 비중을 유동적으로 조절해 코스피200지수의 상승에도 일부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상품이다. 연 15% 프리미엄에 코스피200 종목의 배당수익률을 추가해 연간 약 17%의 분배금을 매월 15일 기준으로 지급한다.
이처럼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에 대한 자금 유입이 더 빨라지고 있는 것은 연 17%에 달하는 높은 월중 배당율과 코스피200 지수의 상승에도 부분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 뿐만 아니라, 해외 주식 또는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한 고배당 ETF들과 달리 배당 수익의 대부분은 물론 향후 발생하는 별도 시세차익에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현금 보유 은퇴자들에게 널리 알려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해외 주식형 또는 채권형 상품의 경우 시세 차익은 물론, 이자/배당 소득, 파생상품이익에 대해서도 모두 15.4%에 달하는 배당소득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분배금을 수취하는 투자자들에게는 큰 부담이었다. 특히, 연간 이자/배당 소득 등이 2천만원 이상이 되면 그 이상의 금융소득에 대해 종합과세가 부과된다.
하지만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과 같은 국내 주식형 커버드콜 ETF의 경우 일반 계좌에서 투자할 경우 시세 차익은 물론 콜옵션 프리미엄 수익에 대해서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분배금 중 포트폴리오 자산의 배당금에 해당하는 비중만 과세되기 때문에 월분배금 부담이 크게 줄어 든다. 이러한 장점이 투자자, 특히 PB(Private Banker)들에게 알려지면서 이 상품을 운용하고 있는 펀드매니저와 컨설턴트에게 상품 문의 연락이 크게 증가했다고 전해졌다.
이대환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해외 주식형 상품과 달리 탁월한 절세 효과와 안정적인 높은 월분배가 장점인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에 투자자와 증권사 PB분들의 문의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며 "국내 주식들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상태에서 완만한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도 국내 커버드콜 상품에 유리한 만큼 월배당을 선호하는 현금 보유 은퇴 투자자들에게 좋은 투자 대상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삼성운용 KODEX 미국S&P500, 1년만에 순자산 4조원…4배 커졌다
- 삼성운용 'KODEX 미국나스닥100' 8개월만에 순자산 1조원↑
- 삼성운용 ‘KODEX 미국반도체’ ETF 명칭 변경
- 삼성운용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비과세 힘입어 순자산 2배↑
- 삼성운용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올해 개인 순매수 유입 1위
- KoAct 글로벌AI&로봇액티브 ETF, 미국 낮추고 일본 높였다
- 삼성자산운용 '삼성글로벌휴머노이드로봇 공모펀드' 국내 첫 출시
- 삼성자산운용, 삼성한국형TDF2050(UH) 3년 장기수익률 1위
- 삼성운용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 순자산 2조원 돌파
- 삼성운용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올해 개인 순매수 전체 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