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자산운용은 KODEX ETF의 순자산이 업계 최초로 70조원을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해 7월 60조원을 넘긴 후 7개월여만이다.
KODEX의 이런 성장세는 초단기형부터 해외 지수형, 월배당 커버드콜, 신개념 테마 등 30개의 다양한 상품들이 1000억원 이상 순자산 증가세를 기록하는 가운데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국내 대표 초단기형 ETF로 자리 잡은 KODEX 머니마켓액티브와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가 각각 4조8400억원, 8800억원 성장했다. 또 최근 총보수를 업계 최저인 0.0062%로 낮춘 미국대표지수 상품 KODEX 미국S&P500과 KODEX 미국나스닥100도 합산 2조5600억원에서 5조7500억원으로 125.2% 성장한 3조2000억원가량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특히 KODEX 미국나스닥100의 경우 기획재정부의 입법 예고안에 따라 지난 달 24일 기존 '분배금 자동재투자형(TR)'에서 '분배금 지급형'으로 유형을 변경한 이후 개인 매수세가 집중되며 동종 상품 중 최대 순매수를 기록하고 있다.
또 KODEX는 지난 해부터 개인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진 커버드콜 상품 라인업을 10개로 늘리며 1조3000억원 순자산 증가세를 기록했다. 미국 자산을 연계한 상품들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새롭게 선보인 국내 자산을 활용한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과 KODEX 금융고배당TOP10타겟위클리커버드콜이 합산 순자산 2000억언을 넘는 선전을 기록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외국납부세액공제 제도가 변경돼 해외 주식의 배당 수익 세금에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시세차익은 물론 장내 파생상품 수익에 비과세가 적용되는 국내 월배당 커버드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이들 상품의 성장세가 주목받고 있다.
KODEX의 개인 순자산 규모는 12조4000억원에서 17조1000억원으로 4조7000억원 증가하며 37.9% 크게 늘었다. 실제로 개인 투자자들이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는 해외주식형 순자산의 경우 7조3000억원에서 11조8000억원으로 4조5000억원 증가하며 62.1% 성장세를 보여줬다. KODEX 순자산이 60조3000억원에서 70조3000억원으로 16.6% 성장한 것을 고려하면 개인 투자자의 눈높이에 맞는 신상품 개발과 기존 상품 등에 대한 마케팅 활동이 좋은 성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된다.
박명제 삼성자산운용 ETF사업부문장은 "업계 최초로 KODEX가 순자산 70조원을 돌파할 수 있게 늘 신뢰와 성원을 보내주신 투자자분들께 항상 감사하다"며 "삼성자산운용은 국내 최대 ETF 운용사로서 늘 고객과 고객 수익률에 집중해 고객의 눈높이에 맞는 신상품 및 서비스 개발에 최선을 다 할 것이며 대한민국 ETF 시장이 200조원을 넘어 300조원 이상으로 꾸준히 성장할 수 있도록 앞장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