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우리나라 고승(高僧)들의 비석에 새겨진 이체자(異體字)를 정리한 '한국 고승 비문 이체자 서체 자전'을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발간된 '한국 고승 비문 이체자 서체 자전'은 음과 뜻은 같지만 모양이 다른 한자인 '이체자'를 모아서 순서대로 늘어놓고 글자의 뜻과 음을 풀이한 책이다.
이체자는 흔히 정체자(正體字)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한자의 일부 획수를 줄여 간단히 한 약자(略字)나 관습적으로 한자의 자획을 약간 달리해 쓰는 속자(俗字) 등을 통틀어 가리킨다.
이는 고승 비문 뿐 아니라 묘지명, 사리기(舍利器), 목간, 역사서 등에서 다양하게 확인되며, 당시 사용된 문자의 경향성과 함께 시대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예로부터 고승이 입적하면 왕실이나 제자들은 승려의 업적을 기리는 비석을 세웠다. 승려의 출생부터 사망에 이르는 일생과 제자·문도(門徒)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어 당시 불교계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 역할한다.
특히 고승 비문에는 같은 글자라도 형체를 다르게 쓴 이체자가 많은데, 형체가 복잡한 한자는 획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쓰기도 하고 한자의 반복되는 부분은 기호처럼 표현하기도 했다.
이 자전에는 고승 비문에서 확인된 이체자를 서예로 작성해 수록했다. 비문 별로 이체자의 서체 용례를 탁본 또는 사진으로 삽입해 같은 글자지만 다양하게 표현된 서체를 비교해볼 수 있도록 했다.
또 이체자에 대한 정체자는 음과 뜻, 부수, 총획수 등의 정보도 수록했다. 총 2권의 자전에 수록된 고승 비문은 고대·고려시대 63건, 조선시대 160건으로, 이체자는 고대·고려시대 3076자, 조선시대 3683자이며 서체 용례는 각각 7268건, 8050건이다.
앞서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전국에 소재한 금석문에 대해 지난 2020년부터 실시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금석문의 기본정보, 판독·해석 내용, 고해상도 사진 등을 포함한 종합정보를 구축했다. 현재 심화연구도 추진하고 있다.
이런 연구의 일환으로 지난 2023년 '한국 고승 비문 이체자 서체 자전'의 첫 번째 책자인 '고대·고려 편'을 발간한 데 이어, 이번에 두 번째 책자인 '조선 편'을 발간하게 됐다.
이번에 발간한 자전은 국공립 도서관, 박물관, 연구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며,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가유산 지식이음 누리집에도 공개돼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 한국인의 삶 기록하는 중요 수단…'한글서예' 국가무형유산 된다
- 국가유산청, 2024년 정부업무평가 '우수' 기관 선정
- 서울 어린이대공원서 조선시대 '살곶이 목장성' 흔적 첫 확인
- 국가유산청 전승교육사 요건 확대…내년 세계유산위원회 유치 추진
- 궁능유적본부-반크, 궁능유산 홍보 업무협약 체결
- 'SNS'를 잡지로…콘텐츠 담는 새 그릇 '인스타 매거진'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25년 청소년 기자단-독서동아리 모집
- 국가무형유산 '자수장' 보유자에 김영이·김영희 씨 인정 예고
- 대장장·선화·물때지식…올해 9개 종목 국가무형유산 지정 조사
- 전통문화교육원 '2024 국가유산수리기능인 양성과정 수료전' 개최
- 글과 그림으로 세계와 만난 '한국 아동문학'
- 주미대한제국공사관 무료 순환버스 운행 확대
- 한국전통문화대, UAE 한국문화원서 '화협옹주의 방' 상설전시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