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대 시중은행이 지난해 설정한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를 모두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리스크 관리 수준에 따라 패널티를 부여할 계획이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4대(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정책대출 제외)은 516조7692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13조3561억원 증가한 수치로 4대 은행이 설정했던 목표 증가액(9조3569억원)보다 4조원 넘게 증가했다.
목표치 대비 초과율이 가장 높은 곳은 우리은행이다. 목표치는 2209억원, 실제 증감액은 1조5584억원으로 705.5%의 초과율을 기록했다.
가장 적은 곳은 KB국민은행으로 목표치 3조3000억원에 실제 증감액 3조4368억원으로 2.3%에 그쳤다.
신한은행은 목표치 3조506억원, 실제 증감액 3조8869억원으로 127% 초과했으며 하나은행은 목표치와 증감액이 각각 2조7828억원에 4조4740억원으로 160.6% 넘게 대출이 이뤄졌다.
연말 대출관리 총량 관리를 위해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창구를 걸어 잠갔지만 목표치 달성에는 실패한 것이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연초 은행이 수립한 가계대출 경영목표 초과여부 등 은행의 리스크관리 수준에 따라 패널티를 부여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다만 패널티 부여 방식은 아직 금융위원회와 논의되지 않은 상태다.
아울러 금감원은 "올해 금융당국은 연간 가계대출 증가액이 명목 GDP 성장률 이내가 되도록 관리하고 '갚을 수 있는 만큼 나눠 갚는' 상환능력 기반 대출 관행 정착을 지속 유도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