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케이뱅크 제공
사진=케이뱅크 제공

케이뱅크는 기업가치를 제대로 평가받기 위해 현재 진행 중인 기업공개(IPO)를 연기하고 향후 재추진하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6월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고 IPO를 추진해 왔다. 대규모 자본 확충을 통해 대출의 유형과 규모를 확대하고 △리테일 △SME·SOHO △플랫폼 등 세 가지 부문에 투자하며 성장 속도를 끌어올리고 수익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주식시장 부진으로 올바른 기업가치를 평가받기 어렵다고 판단해 현재 진행 중인 IPO를 연기하기로 했다.

케이뱅크는 외형 성장과 수익성 제고에 주력하며 기업가치를 지속적으로 높이고 주식시장 상황이 개선되면 조속히 IPO에 다시 나설 계획이다.

신년사에서 밝힌 대로 개인과 기업 시장에 주력해 고객과 자산 성장을 이어가며 혁신금융과 상생금융을 흔들림 없이 추진할 예정이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고객 1274만명을 기록하며 한 해 동안 320만명 이상 증가해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재무 실적 역시 지난해 3분기까지 당기순이익 1224억원을 기록해 연간 최대 실적을 기록했던 2022년(836억원)을 이미 초과하며 외형 성장과 수익 개선을 동시에 이뤄냈다.

지난해 3분기 말 케이뱅크의 BIS총자본비율은 14.42%로 규제비율(24년 말 기준 11.5%)을 크게 웃도는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특히 안전자산 비중 확대와 당기순이익 성장으로 BIS총자본비율은 2023년 말(13.18%) 이후 세 분기 연속 상승하며 개선세를 보였고 상장 연기에 따른 영업 차질은 없다고 설명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증시 부진으로 올바른 기업가치를 평가받기 어렵게 됨에 따라 상장 연기를 결정했다"며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성 제고에 주력하며 시장 상황이 개선되면 조속히 IPO 재추진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