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통한 콘텐츠 이용 빈도. 사진=방송통신위원회
스마트폰을 통한 콘텐츠 이용 빈도. 사진=방송통신위원회

스마트폰을 통해 주 5일 이상 이용하는 주요 콘텐츠에 '숏폼'이 최다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파악됐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4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 5일 이상 스마트폰 이용비율은 92.2%로 전년(91.4%) 대비 증가했으며, 스마트폰을 통해 주 5일 이상 이용하는 주요 콘텐츠로는 숏폼(41.8%), OTT(39.4%), 실시간 스트리밍(26.2%)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 5일 이상 TV 이용비율은 69.1%로 전년(71.4%) 대비 감소해 스마트폰과 TV간 매체이용 격차는 더욱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상생활에서 필수 매체에 대한 인식률은 스마트폰이 75.3%로 전년(70.0%) 대비 5.3%p 늘어난 반면 TV는 22.6%로 전년(27.2%) 대비 4.6%p 감소해 약 3.3배 이상으로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매체 보유 현황' 결과에서는 전체 가구의 TV 보유율이 94.9%로 전년(95.3%) 대비 소폭 감소했다. 1인 가구의 TV 보유율은 88.9%로 전체 가구(94.9%)와 비교해 낮았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TV 보유율도 낮았다. 

스마트폰 보유율은 95.3%로 전년(94.8%) 대비 0.5%p 증가 했는데, 70세 이상에서 전년 대비 6.5%p 증가했다. 또 스마트워치 보유율의 증가세도 2022년 8.9%에서 2024년 12.9%로 지속됐다.

전체 이용자 기준 일평균 TV 이용시간은 2시간 27분으로 전년 대비 2분 줄었고, 스마트폰 이용시간은 2시간 6분으로 전년 대비 6분 늘었다.

1인 가구 기준으로 일평균 TV 이용시간은 2시간 15분으로 전년 대비 12분 감소했고 스마트폰 이용시간은 2시간 27분으로 전년 대비 10분 증가했다.

방통위는 "OTT 이용 시 스마트폰을 통한 이용률은 91.2%로 전년(86.3%) 보다 4.9%p 증가해 OTT가 스마트폰 이용 시간이 늘어나는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체 OTT 이용률은 79.2%로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유료 OTT 이용자 비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이용하는 OTT 서비스 유형은 숏폼(70.7%)과 OTT 자체제작 프로그램(54.3%)이었으며, 특히 전년(58.1%)과 비교해 숏폼 이용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유료 구독형 OTT 서비스의 광고형 요금제는 넷플릭스·티빙 이용자의 18.2%가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형 요금제는 30대에서 가장 많이 이용(21.4%)했으며, 광고형 요금제 이용자 중 64.5%는 지속적인 구독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용행태조사는 2000년부터 매년 실시되는 국가승인통계로, 올해는 전국의 17개 광역시도별 표본조사구 내에서 추출한 5645가구에 거주하는 13세 이상 남녀 8316명을 방문면접 방식으로 진행했다. 이번 보고서는 방통위 누리집과 방송통계포털 누리집을 통해 제공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