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송국리유적 27차 발굴조사 전경. 사진=국가유산청
부여 송국리유적 27차 발굴조사 전경. 사진=국가유산청

국가유산청과 부여군,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발굴조사 중인 사적 '부여 송국리 유적'에서 청동기시대 대지조성을 위해 성토한 흔적과 제의 통로로 추정되는 대형 나무기둥열이 발견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약 1000㎡ 면적에 걸친 대규모 성토층이 확인됐다. 이는 기존 발굴에서 확인된 성토층의 규모를 크게 뛰어넘는 것이다. 

성토층에서는 지점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흙이 사용됐을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소는 평탄하게 하기 위해 경사면 위쪽의 풍화암반층을 깎아내고 그 깎아낸 흙은 경사면에 쌓아 면적을 넓힌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대지를 조성하며 만든 도랑 형태의 유구(遺構·옛날 토목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자취)에서는 회색과 적색 점토 덩어리 등도 발견됐다.

이번에 발견된 나무기둥열은 두 줄이 쌍을 이루며 약 200m에 걸쳐 길게 나 있었으며, 모두 북쪽에 위치한 1호 석관묘를 향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석관묘에서는 비파형 동검, 동착, 관옥 등 권위를 상징하는 유물들이 함께 발견돼 마을의 지배자가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소는 이들 나무기둥열이 무덤군으로 향하는 제의를 위한 통로시설로 활용됐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향후 대지 조성 과정과 정확한 규모, 유구 성격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한편 부여 송국리 유적은 우리나라 청동기시대 중기의 대표적인 농경유적이다. 그간 조사에서는 타원형의 구덩이와 기둥 구멍(주공)이 배치된 원형 집자리, 목이 외부로 벌어진 큰 항아리, 삼각형 돌칼과 유구석부 등이 발굴된 바 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