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대 금융지주가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사태에 일제히 긴급회의를 열고 리스크 점검에 나섰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KB·신한·하나·우리) 금융지주는 이날 오전 모두 그룹 위기관리위원회를 개최했다.
KB금융은 이날 오전 8시 양종희 회장 주재로 임원회의를 열고 환율 등 금융시장 변동성 전반에 대한 점검과 대응방안을 검토했다.
신한금융은 이날 오전 7시 진옥동 회장 주재로 그룹 위기관리위원회를 개최했다. 신한금융은 내부통제 강화, 시장 상황 대응을 위해 위기관리 역량을 집중하면서 외화 유동성을 점검하고 시장 유동성 공급 등 시장 안정화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또 직원에 IT 사고 예방을 위한 점검 강화와 고객 응대, 시장 불확실성 확대 시 적시 대응할 수 있도록 면밀한 모니터링을 주문했다.
하나금융도 이날 오전 7시 함영주 회장 주재로 긴급 임원 회의를 열고 환율과 유동성 변동 등을 고려한 리스크 전반을 점검했으며 IT 보안 유지 점검과 임직원 간 유기적 대응을 강조했다.
우리금융 역시 오전 7시 30분 임종룡 회장 주재로 열린 임원 회의에서 지주와 자회사에 유동성 관리와 시장 대응, 업무점검, 고객 응대, IT 등 사고, 직원 소통 등을 당부했다.
조병규 우리은행장은 "위기대응협의회 등을 통해 유동성 관리는 물론, 환율 수준별 대응 방안을 점검하는 등 시장 리스크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며 "현금 수요가 평소보다 많을 수 있으니 영업점별 시재 유동성 관리를 보다 철저히 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등 금융 범죄와 사고에 대한 점검도 철저히 해달라"고 내부 직원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 우리금융, 사랑의 온도탑에 150억 성금…14.5도로 출발
-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기업가 혁신 적극 지원할 것"
- 하나금융, 스타트업 후속투자 위한 '하나 ESG 더블임팩트 매칭펀드' 데모데이
- KB금융, 대전시와 ‘소상공인 맞춤형 저출생 정책 지원’ 협약
- 비상계엄 선포에도 유통 정상운영…배달·새벽배송 이상 없어
- '비상계엄' 사태에 환율 뒤죽박죽…"변동성 증가 불가피"
- 비상계엄 선포·해제에 SNS·포털 '술렁'
- 비상계엄에 등돌린 외인…그나마 버텼던 금융주도 와르르
- S&P "비상계엄 사태, 한국 신용등급에 실질적 영향 없다"
- 우리은행, 대출 상담에 생성형 AI적용… 금융권 최초
- 금감원, 우리은행 검사 결과 발표 내년 초로 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