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회장, 사진=뉴스저널리즘
임종룡 회장, 사진=뉴스저널리즘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이 자회사 임원 선임과 관련한 사전합의제를 폐지하겠다고 약속했다.

10일 임 회장은 22대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우리금융은 임원 선임과 이사회 운영 등 자회사 임원 선임에 관련해서 사전합의제를 운용하고 있고 회장의 선임은 이사회 임원추천위원회에서 결정된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은 "그렇게까지 회장이 자회사 임원들까지 합의를 거치지 못하면 임원 임명을 할 수 없다. 이렇게하는 게 맞느냐"고 물었다. 

이에 임 회장은 "이번 (부당대출)사건의 한 원인이기도 하고 회장의 권한과 기능을 조절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그룹 전체의 개혁을 위해서 자회사 임원 선임과 관련한 사전합의제는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동의를 받고 친인척에 대한 신용정보를 등록하겠다"고 전했다.

추가 대책도 내놓았다. 임 회장은 "사외이사만으로 구성되는 윤리 내부통제위원회를 신설하고 직속으로 윤리경영실이라는 것을 만들어서 외부 전문가가 수장이 되는 감시 기능 내부자 신고제도 등을 통괄할 수 있는 기관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또 "여신 감리조직을 격상시키고 부적정 여신에 대한 내부자 신고 채널을 강화하고, 또 이상거래에 대해서 전산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해서 내년부터 시행할 것"이라며 "은행뿐만 아니라 계열사에서 부당대출이 있었는데 전 계열사의 부적정 여신에 대해서는 정보 교류를 할 수 있는 시스템도 만들어 보겠다"라고 강조했다. 

임 회장은 말미에 우리금융 기업문화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금융사고 등은 제도나 시스템뿐만이 아니라 기업문화도 한 몫을 한다는 지적이다. 

임 회장은 "끊임없는 교육을 해야 하고, 또 지속적인 점검을 해야 되고 아울러서 엄정한 신상필벌이 있어야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