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농협중앙회.
사진=농협중앙회.

올해 상반기 농협과 수협을 비롯한 단위조합의 대출 연체율이 급격히 상승해 상호금융 재무 건전성에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6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의원이 농협중앙회, 수협중앙회, 산림조합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6월 말 기준 세 기관 단위조합의 대출잔액은 총 391조4490억원에 달했다.

이는 2021년 말 348조7269억원에서 약 42조7221억원이 증가한 수치다. 대출잔액 증가세는 2021년부터 매년 지속되고 있으며 올 6월에는 거의 400조원에 가까워졌다.

특히 농협 단위조합의 대출잔액은 348조549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수협이 34조1603억원, 산림조합이 8조7389억원을 기록했다.

연체율 역시 크게 상승했다. 농협 단위조합의 연체율은 2021년 0.88%에서 올 6월 3.81%로 약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수협 단위조합의 연체율은 1.64%에서 6.08%로, 산림조합은 1.50%에서 5.63%로 각각 상승했다.

특히 농협 단위조합의 최고 연체율은 37.61%에 달했다. 이는 국내 은행 평균 연체율(0.42%)을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3개 기관에서 연체율이 10%를 넘는 단위조합은 총 100곳으로 농협이 72곳, 산림조합이 19곳, 수협이 9곳이었다. 대출잔액 중 연체금은 15조8000억원에 달했다.

재무 상황을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산림조합은 140곳 중 64곳(45.7%)이 적자를 기록했고 수협의 경우 22곳(24.4%)이 적자를 냈다. 농협에서는 19곳(1.7%)이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윤준병 의원은 "부실이 심각한 조합뿐만 아니라 잠재적 위험이 있는 조합까지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정부 차원의 전수 조사를 요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