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 농협과 수협을 비롯한 단위조합의 대출 연체율이 급격히 상승해 상호금융 재무 건전성에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6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의원이 농협중앙회, 수협중앙회, 산림조합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6월 말 기준 세 기관 단위조합의 대출잔액은 총 391조4490억원에 달했다.
이는 2021년 말 348조7269억원에서 약 42조7221억원이 증가한 수치다. 대출잔액 증가세는 2021년부터 매년 지속되고 있으며 올 6월에는 거의 400조원에 가까워졌다.
특히 농협 단위조합의 대출잔액은 348조549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수협이 34조1603억원, 산림조합이 8조7389억원을 기록했다.
연체율 역시 크게 상승했다. 농협 단위조합의 연체율은 2021년 0.88%에서 올 6월 3.81%로 약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수협 단위조합의 연체율은 1.64%에서 6.08%로, 산림조합은 1.50%에서 5.63%로 각각 상승했다.
특히 농협 단위조합의 최고 연체율은 37.61%에 달했다. 이는 국내 은행 평균 연체율(0.42%)을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3개 기관에서 연체율이 10%를 넘는 단위조합은 총 100곳으로 농협이 72곳, 산림조합이 19곳, 수협이 9곳이었다. 대출잔액 중 연체금은 15조8000억원에 달했다.
재무 상황을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산림조합은 140곳 중 64곳(45.7%)이 적자를 기록했고 수협의 경우 22곳(24.4%)이 적자를 냈다. 농협에서는 19곳(1.7%)이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윤준병 의원은 "부실이 심각한 조합뿐만 아니라 잠재적 위험이 있는 조합까지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정부 차원의 전수 조사를 요구했다.
- 농협물류, 홍천 폭우 피해농가 수해복구 일손돕기 실시
- 수협, 키자니아 수산물 무료 증정 캠페인 실시
- 농협, 청년 일자리 창출 위해 1천800명 신규 채용
- 강호동 중앙회장, '농협이념' 특강 실시
- 농·축협, 2024년 하반기 신규직원 1천명 채용
- 농협중앙회-강동경희대학교병원, 찾아가는 진료 협약·쌀 소비 캠페인
- 농협, 노사 공동 수확철 농촌 일손돕기 나서
- 농협, 5년간 법률 자문에 84억원…중앙회 임원 위한 자문에 집중
- 수협, 대출연체금 3개월만에 3천억원 급증
- 수협 직원, 끈질긴 상담으로 보이스피싱 또 막았다
- 수협중앙회, 금융지주 설립 연기…건전성 개선 우선
- [기자수첩] 서민 위한다는 상호금융, 얼룩 걷을 각오 없나
- 금융위, 상호금융권 건전성 규제 강화 유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