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국내 금융지주 회장단과 만나 내부통제 강화를 통한 신뢰 구축과 환경변화에 따른 컨트롤타워 역할을 당부했다.
30일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서울 중구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금융권 릴레이 간담회의 마지막 일정으로 KB, 신한, 하나, 우리, 농협, DGB, BNK, JB 등 8개 금융지주 및 은행연합회장과 만났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금융지주 자산 규모가 전 금융권의 45%에 달한다"며 "우리 경제 금융의 핵심 플레이어로서 위에 걸맞는 책임이 필요하다"고 운을 뗐다.
이어 "금융의 본질은 신뢰"라며 "세금 횡령이나 ELS 불완전 판매와 같은 금융사고는 금융권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저하시키는 큰 위협"이라고 강조했다.
금융지주 차원에서 책임감을 갖고 내부 통제 강화를 통해 금융사고를 예방해 달라는 뜻이다.
김 위원장은 "금융지주는 그 역할이나 규모 면에서 시장과 국민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시장의 평가와 국민의 시각을 유념하여 공정하고 투명한 경영과 영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달라"며 안정적으로 책무구조도가 정착하기 위해 시범운용에도 참여해달라고 당부했다.
책무구조도는 오는 10월 말 시범운용을 실시하며 5대 금융지주는 모두 참여 예정이다.
김 위원장은 "금융지주 제도가 도입된 지 20년이 지났고 제도 도입 당시와 비교할 때 경제적 사회적 여건이 크게 바뀌었다"며 "고령화, 저출생 등 인구 구조 변화, 온난화, 자연재해 등 기후 변화, 디지털 전환, 가속화, 빅토리어 현상 등 기술 혁신 등 그동안 경험해보지 못한 거대한 환경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이런 변화는 우리 경제와 금융산업의 위기이면서 동시에 피해"라며 "우리 경제가 미래를 대비하고 우리 금융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금융지주 차원에서 창의적인 전략과 해법을 모색하고 금융그룹 내 시너지 창출, 해외 진출 등 우리 금융 영토를 확장하기 위한 전략 등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환경 변화에 발맞춰 금융지주회사가 이러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감독적으로 필요한 사항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며 금융지주 회장단에 의견 개진을 요청했다.
가계부채 축소도 잊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가계부채의 경우 우리 정부 들어 축소 안정세를 유지해 왔으나 최근 다시 증가하고 있다"며 "금리 정책의 전환 국면, 부동산 가격 상승세 등 녹록지 않은 여건이나 가계부채 증가율이 GDP 증가율 범위 내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DSR 중심의 관리 기조 하에 가계부채 증가 추이나 양상에 따라 준비되어 있는 수단을 적기에 과감하게 시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 "가계부채의 안정적 관리는 궁극적으로 금융권의 심사 기능과 리스크 관리 노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라며 "특히 금융지주의 자회사에서 가계부채 총량의 60%가 지급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금융지주회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올해 남은 3개월간 가계대출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주 차원의 각별한 관심을 부탁드린다"며 "내년에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의 하향 안정화가 지속될 수 있도록 지주 차원에서 책임감을 갖고 내부 관리, DSR을 시작으로 보다 정교한 가계부채 관리 목표를 설정해달라"고 말했다.
- 금융위원장이 강조한 '디딤펀드' 25개 운용사 출격…경쟁력은
- 양종희 KB금융 회장 "신뢰·상생에 '새로고침' 더해 새 역사 만들자"
- DGB금융, iM 브랜드 슬로건 'imagine More' 공개
-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투자자 의견 수렴해 기업가치 제고"
- 우리금융-굿윌스토어 협력, 미국서도 인정 받아
- 은행권, 금융소외계층·소상공인 위한 '은행 공동ATM' 운영
- 김병환 첫 국감 "가계부채 성장률 이내 관리…부동산 PF 건전성 관리 만전"
- 김병환 "ETF 금감원 조사 결과 살필 것…'금투세' 국회에서 빠른 결정해야"
- 은행권, 자영업자·소상공인에 1조4768억원 환급
- KB금융, 책무구조도 제출…금융사고 예방 나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