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플랫폼노동조합이 8월 2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배달의 민족 B마트 앞에서 연 'B마트 멈춤의 날 선포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배달 관련 앱을 켜둔 채로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배달플랫폼노동조합이 8월 2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배달의 민족 B마트 앞에서 연 'B마트 멈춤의 날 선포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배달 관련 앱을 켜둔 채로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다음 달 국회 국정감사(국감)에 유통업체 경영진들이 증인으로 줄줄이 불려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2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국감 증인으로 채택된 업체는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과 요기요, 쿠팡, KT&G, 일동후디스 등이다.

앞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중위)는 배달앱 수수료 문제와 관련해 함윤식 배달의민족 부사장과 피터얀바데피트 우아한 형제들 대표, 전준희 요기요 대표 등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배달앱은 최근 배달 메뉴 가격이 더 비싼 '이중가격제' 확산을 초래했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강한승 쿠팡 대표의 경우 배달앱 쿠팡이츠 수수료 문제와 알고리즘 조작 의혹 등으로 국회에 불려나가게 됐다. 

공정위는 지난 6월 쿠팡의 알고리즘 조작 등 혐의에 대해 1600억원가량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쿠팡은 이에 불복해 공정위를 상대로 시정명령 등 취소 청구소송을 제기해 법적 다툼을 벌이는 상황이다. 산중위 국감에서는 강 대표에게 '자사 우대 노출 및 소상공인'에 대한 질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회 정무위원회에선 쿠팡의 '멤버십 끼워팔기' 논란과 관련해 쿠팡 관계자를 소환할 것으로관측된다. 공정위는 쿠팡이 와우 멤버십을 운영하면서 별개 온라인동영상 서비스(OTT)인 쿠팡플레이와 쿠팡이츠 알뜰 배달 서비스를 무료 제공한 것이 공정거래법상 금지된 '끼워팔기'에 해당하는지 조사 중이다.

쿠팡 노동자의 잇단 사망과 관련해서는 정혜경 진보당 의원이 환경노동위원회의 고용노동부에 대한 국감에 홍용준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 대표를 증인으로 신청했다.

KT&G, 일동후디스도 국회의 호출을 받았다. 방경만 KT&G 대표는 불공정 판매 강요 문제, 이준수 일동후디스 대표는 광주 청년기업 '아이밀' 상표권 침해 논란에 대해 여야 의원들의 질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티메프 사태' 관련 유통업체도 국감장에 증인으로 불려 나간다. 산자위는 조성호 전 공영홈쇼핑 대표를 불러 티메프 사태와 공영홈쇼핑 부실경영 책임을 추궁할 계획이다.

키워드
#국정감사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