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세계한국어교육자대회' 포스터. 사진 = 세종학당재단 
'2024 세계한국어교육자대회' 포스터. 사진 = 세종학당재단 

세종학당재단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오는 9일까지 서울 중구 서울신라호텔에서 한국어 교육자 양성을 위한 연수회인 '2024 세계한국어교육자대회'를 연다고 6일 밝혔다.

대회는 올해로 16회째를 맞이했으며, 전 세계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을 비롯해 국내·외 한국어 교육자들의 노고를 격려하고 한국어·한국문화 교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연다. 올해는 46개국 118개 세종학당에서 참가한 173명의 교원들을 비롯해 신규 선정된 세종학당 관계자, 우수 세종학당 관계자 등 300여 명이 참여한다.

올해 표어는 '한국어를 가르친다는 것, 멋지다는 것'이다. 대회는 개막일인 6일 △개회선언 △기조강연 △축하공연 △세종학당 우수교원 포상 및 격려 △우수교원 공모전 우수사례 발표가 진행된다. 기조강연은 박석준 배재대학교 교수 및 재단 이사가 '한국어 세계화를 위한 한국어교원의 역할'을 주제로 한국어·한국문화 보급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향과 교원의 역할을 강연한다.

이어 우수 세종학당 3개소 대상 재단 이사장상과, 신설 세종학당 운영기관 16개소 대표자에게 신규 세종학당 지정 증서 전달식이 이어졌다. 우수교원 공모전 최우수상은 주카자흐스탄한국문화원 세종학당의 교원인 바이마간베토바 딜바르씨가 외국인 최초로 수상했다.

둘째 날인 7일은 한국어·한국문화 교육 연수가 열린다. 이날 연수는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의 방향과 교사의 역할'(방성원 경희대학교 교수) △'세종한국어평가 안내 및 활용 방안'(김호정 서울대학교 교수) 강연이 오전 중 진행된다. 이후 오후에는 분과별로 나누어 총 3개의 강연(△정보통신(IT) 활용 교육 △실용적 한국어 발음 교육 △표준·고급 교재 활용법)이 동시에 진행될 예정이다.

셋째 날인 8일에는 △'상호문화주의 기반 한국 전통문화와 현대문화'(김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를 오전 중 실시하고, 오후에는 △'상호문화주의적 관점의 한국어·한국문화 교수법 사례 공유'(윤영 호남대학교 교수)의 강연과 캘리그라피, 전통공예 등 3분과의 실습이 진행된다.

마지막 날인 9일에는 대회 기간 동안 연수 프로그램으로 교원들이 직접 작성한 결과물을 발표하며 일정이 마무리된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