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스 시대가 본격 개막한다.
현금 충전만 가능했던 기후동행카드의 실물카드 충전 역시 신한카드, KB국민카드 등의 신용·체크 카드로도 충전이 가능해진다.
이번 K-패스 카드는 물론 기후동행카드의 신용카드사 참여 기사를 보면서 매월 10여일 6만2000원의 현금을 들고 기후동행카드 충전을 위해 기계를 찾던 불편함이 사라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기뻤다.
다른 한편으로 처음 기후동행카드를 만들면서 카드업계와 빠르게 손을 잡았더라면 더 좋지 않았을까라는 생각도 했다. 되돌아보면 카드업계는 그동안 업황악화에도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정부 정책에 적극적이었기 때문이다.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 카드는 대중교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정책이라고 한다.
유럽과 대중교통 선진국의 사례에서 착안한 방식이라고 하는데 특히 우리나라처럼 이렇게 빠른시간 내에 보급되고 정착된 경우도 드물다고 한다.
이 말은 즉 어떤 나라보다 정부 정책과 민간의 노력, 쉽게 말해 카드업계가 발빠르게 호응했다는 말로도 다시 한 번 귀결된다.
특히 이번 호응으로 국민들이 기후와 환경 정책에 불편함 없이 참여하게 된 것도 고무적이다.
기후동행 정책의 편리성이 강화되는 시점에서 문득 카드업계는 과연 남는게 있을까, 뭐 때문에 이렇게까지 기후 정책에 적극적일까라는 생각도 해봤다.
카드업계는 이번 기후동행카드 신용카드 충전, K-패스 실물카드뿐만 아니라 앞서 지난해에 코레일 결제 지원 등 정부가 추진한 대중교통 활성화를 통한 기후 위기 대응에도 최일선에 선 바 있다.
하나하나 짚어보면 정책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카드업계가 얻은 이익보다는 고객에게 내어준 혜택이 더 많았다. 환경에 대한 진정성이 부족했다면 참여했을까라는 의문에 당연히 "NO"라는 대답이 나온다.
매월 기후동행 카드를 결제하면서 환경에 진심이었던 카드사들의 마음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