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디지털 자료를 구축하고 웹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국정과제인 '팔만대장경 디지털 DB 구축'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팔만대장경은 고려 고종 때 부처님의 힘을 빌려 몽골의 침입을 물리치고자 1236년부터 1251년까지 16년 동안 불교 경전을 목판에 새겨 만들었다.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건물인 장경판전 안에 보관돼 왔으며, 대장경판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장경판전은 세계유산으로 각각 등재됐다.
대장경판에 새겨진 내용은 먹으로 인쇄해 책으로 묶은 인경(경판에 먹을 입혀 한지에 인쇄하는 전통인쇄기술)본이 봉안된 적 있으나 현재는 국내 일부 보관본 및 고려시대에 일본에 전해진 본만이 남아 있다. 이 또한 완전한 구성과 내용을 갖추지 못했고 일반 국민이 쉽게 볼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문화재청은 올해 팔만대장경 디지털 DB 구축 사업으로 경판에 대한 기초 학술조사(정밀 기록, 보존 상태에 대한 과학적 조사)를 통한 보존 대책 마련, 각 경판 정밀사진 촬영, 전통방식 인경본 제작 후 디지털 자료화(스캔)를 추진할 예정이다. 마련된 활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2025년부터는 누구나 쉽게 경판을 열람할 수 있는 대장경판 활용 웹 서비스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향후 국가유산 공개와 활용을 위한 다양한 정책 사업을 지속 확대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 봄꽃 흐드러진 낙선재 열린다, 문화재청 '봄을 품은 낙선재' 운영
- 디지털로 만나는 '작은 금강'…류준열 내레이션 재능기부
- 문화재청, 우즈벡 아프로시압 박물관 새 단장 지원
- 일제가 허문 경복궁 영훈당, 110년 만에 복원…165억 투입
- 창경궁 옛 모습 어땠을까…국보 동궐도와 함께 하는 특별관람
- 문화재청, '김해 진봉산 망해사' 일원 명승 지정 예고
- '경주 금척리 고분군' 발굴 방향 논의할 학술대회 오는 21일 개최
- 문화재청, 조선 안전 지킴이 '수문장 순라의식' 확대 운영
- "연구원과 시민이 나누는 신라 문화 대담"
- 문화재청,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일부 개정
- '진달래 피는 봄' 세종대왕릉 진달래 숲길 한시개방
- 전국 8도 수문장 경복궁에 모인다, '2024 전국 수문장 임명의식'
- '144년 공사 끝', 사그라다 파밀리아 대성당 2026년 완공 예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