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와 금융당국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결책으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공개했지만 시장 반응은 냉랭하다.

지난달 26일 금융위원회는 한국거래소·사장회사협의회 등 유관기관과 함께 '한국증시 도약을 위한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1차 세미나'를 개최한 바 있다.

세미나에서는 유관기관 합동으로 마련한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해 △공정·투명한 시장질서 확립 △자본시장 접근성 제고 △일반주주 보호 강화를 중심으로 제도개선이 진행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일본의 성공 사례를 참고했다. 크게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 이하 기업을 대상으로 자본효율성 개선과 소액 투자 비과세 제도(NISA) 등 제도 개혁을 통한 개인 자금 유도가 골자다.

일각에서는 이 정도로는 국내 증시 저평가 해소는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보다 먼저 기업 가치 제고 정책을 편친 일본은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 평균주가가 3만9000선으로 올라서며 2014년부터 자기자본이익률(ROE) 증가, 주가순자산비율(PBR) 중심의 투자정책, 투자자 소통강화 등의 밸류업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상장기업이 자율적으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에 밸류업 프로그램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기관과 외국인, 개인 등 호응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그래서인지 기관과 개인에게는 반응이 좋지 않다. 정부와 당국은 페널티와 강제성을 도입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더욱 견고하게 보완하고 기관과 개인 참여를 적극 유도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