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을 앞두고 증시 훈풍이 일고 있다. 정부 차원의 주가부양 정책안이 발표된데다 여러 요인이 겹치면서 외국인들 유입이 많아졌기 때문인데, 그동안 PBR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저평가주를 중심으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저PBR주를 중심으로 한 증시 훈풍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S&P 500이나, 나스닥과 같은 안정적 상승세를 기대하기엔 아직 불확실성이 많이 남아있는 모양이다. 코스피는 2월1일부터 이틀간 폭등하더니 5~6일에는 연속 하락세로 장을 끝냈다.
그런데 또 7일에는 외국인들과 기관들의 자금이 유입되면서 2600선을 회복했다. 아직까진 저PBR 종목 중심의 강세가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PBR은 시가총액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회사가 보유한 자기자본 대비 시가총액이 얼마나 큰 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PBR 1배를 청산가치라고도 하는데 회사가 갖고 있는 자산 등을 모두 매각했을 때 가치가 주가보다 높다는 의미다.
PBR이 낮다는 의미는 상대적으로 주식 가격이 '싸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자산만 많고 수익을 못내는 기업이나, 자산은 많은데 배당이 적은 기업들도 시장의 외면을 받으면 가격 자체는 쌀 수 있다. 그래서 최근 "저PBR주의 옥석가리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이 나오기도 한다.
마치 '테마주'같은 모습이다. 실제로 증권가와 주요 언론매체에서도 '저PBR 테마주'라는 용어를 쓴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과 관련한 기대감을 타고 광풍이 불자 '조심하라'는 메시지가 나오는 것까지 딱 '테마주'와 어울린다.
테마주는 언젠가 식기 마련이다. 다른 테마가 나오거나 더 매력적인 요인이 나타나면 돈이 옮겨가는 게 지금까지의 한국 증시였다.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겠다고 하는데 테마주로 남으면 결국 빠질 돈은 빠진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벤치마킹이 일본이라는 사실은 누구나가 안다. 하지만 일본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페널티'의 유무다. 자사주 소각 의무화 방안 도입도 보류됐고, PBR 1배 미만 상태가 지속되면 상장폐지 목록에 오를 수 있다는 경고도 없었다. 듣기 좋은 소리만 골라서 하니 여전히 '총선용 카드'라는 평가가 나온다.
경제 유튜버 슈카월드(전석재)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가장 근본적인 해결 방안으로 이사회의 견제 기능 정상화를 꼽고 있다. 간혹 오너들의 이익과 주주들의 이익이 상충되는 결정을 할 때, 대다수(혹은 일부) 국내 기업들의 이사회는 오너의 지시에만 따른다는 것이다. 오너의 상속세 부담으로 주가를 낮게 유지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페널티나 강제력이 없는 프로그램 효과가 얼마나 지속될지는 미지수다.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하라는데, 업황에 따른 계획 수정이나 보류, 연기 등 계획을 지키지 않고 피해갈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
저PBR주가 테마주가 되지 않으려면 더 강한 정책 드라이브가 필요해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