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리츠화재가 22일 경영실적 발표를 통해 지난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조1171억원, 1조574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2년 같은 기간 대비 각각 23.6%, 25.2% 증가한 성적표다.
23일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업계의 출혈 영업 경쟁에 동참하지 않고 신계약의 질적 가치 향상을 위해 우량 계약 중심의 매출 성장과 효율적인 비용 관리 등 본업 경쟁력에 충실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산기준 메리츠화재가 DB손해보험을 제치고 손보업계 실적 2위를 기록하자 설왕설래 목소리도 감지됐다. 일각에서는 '어부지리'라는 반론도 나왔다. DB손해보험과 메리츠화재의 차이는 DB손해보험의 일회성 요인인 괌·하와이 자연재해에 따른 손해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DB손해보험의 지난해 누적 당기순이익은 1조5367억원으로 메리츠화재와 381억가량 차이를 보였다. DB손해보험의 괌·하와이 자연재해 피해액이 수천억원이라는 점을 고려해 이를 제외하면 오히려 DB손해보험이 여전히 메리츠화재를 앞서는 것으로 추산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DB손해보험이 작년에 적자를 기록한 이유는 괌·하와이 자연재해 때문"이라며 "DB손해보험 입장에서 보면 실적 2위를 내줬다는 평가는 억울한 점도 존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