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4일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를 방문해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 등과 반도체 분야 현안들을 점검했다.
최 회장은 이날 주요 경영진들과 함께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인공지능(AI) 메모리 분야 성장동력과 올해 경영방향을 점검했다. 그는 거시 환경 분석 등 달라진 경영환경에 대응하고, 세계 시장의 이해관계자를 위한 토털 솔루션 접근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역사적으로 없었던 최근 시장 상황을 교훈 삼아 골이 깊어지고 주기는 짧아진 사이클의 속도 변화에 맞춰 경영 계획을 짜고 비즈니스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 관점에서 사이클과 비즈니스 예측 모델을 만들어 살펴야 한다"라며 "특정 제품군만 따지지 말고 매크로 상황을 파악해야 하고 마켓도 월드마켓이 아니라 분화된 시장 관점에서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AI 반도체 전략에 대해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수요 등 고객 관점에서 투자와 경쟁상황을 이해하고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AI인프라 전담 조직 신설 및 산하 HBM 비즈니스 조직 신규 편제 등 AI 인프라 시장 우위 선점을 위해 역량을 모으고 있다.
최 회장은 지난해 9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공사 현장을 방문하는 등 지속해서 반도체 관련 현안을 챙기고 있다. 용인 클러스터는 현재 본격적인 부지 조성 작업을 진행 중이다. SK하이닉스는 2025년 3월 첫 번째 팹을 착공하고 2027년 5월 준공해 AI 산업 핵심 기지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최 회장은 앞서 신년사를 통해 "장기간 대외 활동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는 기회를 많이 가지지 못해 아쉬웠다"라며 "올해는 '해현경장(사회적·정치적 제도를 개혁하는 것)'의 자세로 경영시스템을 점검하고 다듬어 나가자"라고 한 바 있다.
한편, 최 회장은 오는 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IT 박람회 CES 2024를 찾아 세계 AI 트렌드를 살필 예정이다. SK하이닉스는 이번 CES 2024에서 AI 인프라 핵심인 초고성능 메모리 제품들을 전시한다.
- SK·LG·현대 신임 수장 신년사로 본 2024 목표
- SK하이닉스, CES 2024서 AI 핵심 메모리 선보인다
- [신년사] 최태원 SK 회장 "해현경장 자세로 다듬어 나가자"
- [2023 기업] 위기 또 위기...고난의 행군 걸은 기업들
- 재계, 위기 극복 절실함에 '미래 준비' 말하다
- SKT, CES서 혁신 기술 공개 [CES 2024]
- SK하이닉스, "메모리 센트릭 AI 시대 이끌어 나갈 것" [CES 2024]
- SK하이닉스, 반도체 업계 최초 '재활용·재생가능 소재' 중장기 계획 수립
- SK, 주말 경영진회의 24년 만에 부활…"글로벌 위기 돌파한다"

